전문가 “양산단층은 활성단층, 또 다른 지진의 전진일 수도”
“수도권에도 단층 존재, 1518년 한양에서 지진 기록”
기상청, 조기경보 시간 단축, 2018년까지 10초대 목표
기상청의 경주 5.8 지진 정밀분석 결과에서 이번 지진이 활성단층에서 일어난 것으로 의견이 좁혀지면서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가설은 사실에 한층 가까워졌다. 기상청은 지진 조기경보 시간을 앞당기고, 재난문자 발송 시간도 줄이는 대책을 발표했다.
22일 기상청의 중간결과 브리핑에 참석한 김광희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기상청 분석을 종합하면 경주 지진은 양산단층에서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좁은 지역에 많은 단층이 모여 있는 곳이라 자세한 추사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만약 양산단층에서 벌어진 것이 맞다면 논란의 여지 없이 양산단층은 활성단층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번 여진이 또 다른 지진의 전진(前震)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활성단층이란 단층의 나이가 적어 지진 발생 가능성이 큰 곳을 말한다. 경주 지진이 발생하기 전까지만 해도 “한국은 내륙과 주변부에 활성 단층대가 없어 큰 지진 발생가능성이 낮다”는 게 통설이었는데 완전히 뒤집힌 셈이다.
이 때문에 기상청은 20일부터 기상청 지진 연구관 8명을 투입해 지진ㆍ지질학 전문가와 공동으로 경주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내년 3월까지 이어지는 조사는 지질구조를 파헤쳐 활성단층 유무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수도권의 대형 지진 발생 가능성도 이번 브리핑에서 제기됐다. 강태섭 부경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수도권에도 단층이 있는 것으로 조사돼 있는데, 실제로 1518년 한양에서 지진으로 기왓장이 떨어져 사람이 다쳤다는 기록이 있다”며 “정부가 의지를 갖고 20~30년에 걸쳐 전국의 단층 분석을 실시해 잠재 가능성을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2011년 일본 도호쿠(東北) 대지진의 영향 여부를 두고서는 "경주 지역이 지질, 역사학적으로 따졌을 때 지진이 빈번했던 곳이 분명하지만, 여기에 도호쿠 대지진도 일부 기여를 했다고 보는 게 옳다”고 강 교수는 설명했다.
기상청은 이날 긴급재난문자 발송 시간을 앞당기는 방안도 발표했다. 21일 당정청 협의에 따라 11월부터는 기상청이 국민안전처 대신 재난문자를 직접 발송하기로 한 것이다. 안전처가 운영하던 긴급재난문자 발송시스템(CBSㆍCell Broadcasting System)을 활용해, 지진 관측 직후 2분 내외로 지진 발생위치 및 규모를 자동 전송하는 식이다. 김남욱 기상청 지진화산관리관은 “궁극적으로는 CBS 시스템이 아니라 각 이동통신사에 지진 통보문을 전달해 사용자가 바로 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 중”이라며 “이렇게 되면 지진 발생 30초 안에 재난문자를 받는 날도 올 수 있다”고 말했다.
동시에 기상청은 현재 50초 내에 이뤄지는 지진 조기경보 시간을 2018년까지 10초대로 단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기상청은 지난해 1월부터 규모 5.0 이상 지진에 대해 국민안전처와 지방자치단체, 언론사 등에 지진조기경보를 내리고 있다. 규모가 큰 지진은 최초 발생 후 주변으로 지진파가 도달하는데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지진 조기경보가 빨리 내려질 수록 방재 활동에 도움이 된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 206곳에 있는 지진관측소를 2018년까지 314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장재진 기자 blanc@hankookilbo.com
정반석 기자 banseo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