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대 소방안전공학과 김동현 교수
“드론을 화재ㆍ지진 현장에 투입할 경우 긴급상황 대처 시간이 지금보다 평균 3, 4배 빨라집니다. 재난사고 발생 시 사고 피해자의 소중한 생명을 구할 골든타임을 확보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21일 전북 전주시 천잠로 전주대 교정에서 만난 김동현(45) 소방안전공학과 교수는 “최근 경주 지진이나 2년 전 진도 세월호 같은 긴급 재난ㆍ재해 사고가 벌어지면 현장에 곧바로 드론을 투입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국민안전처의 의뢰를 받아 지난 7월 고층건물 화재와 산악 사고, 해상 실종사고 등에 소방드론 현장 시뮬레이션을 했다. 그리고 국내 처음 재난현장의 드론 활용 결과를 데이터로 제시했다. 전주대 소방안전공학과 학생들과 진행한 실험은 경남 창원소방본부의 도움을 받았다. 장비로 살수용 펌프차, 구급차, 지휘차 등이 동원됐다. 드론은 날개가 고정돼 곧바로 방향을 틀 수 없지만 1시간 이상 운항 가능한 고정익 드론과 4개 이상의 프로펠러가 달려 비행 방향,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나 운항시간이 30분 이내로 제한된 회전형 드론을 함께 사용했다. 모의실험 결과에 김 교수는 “도심의 고층 건물 화재 실험에서 드론이 현장 출동 기동성을 물론이고 상황 파악, 정보 전달 등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다”고 말했다.
모의실험에 부여된 구체적 상황은 3가지였다. 우선 경남 창원시 성산구의 15층 기숙사에서 화재가 발생 신고가 접수되자 창원소방본부 119상황실이 출동지령을 내렸다. 드론은 신고 접수 2분 37초만 에 현장에 도착했다. 마산소방서의 펌프차나 구급차의 현장 도착 시간은 6분 30초로 드론보다 2배 이상 늦었다. 이후 화재 발생 지점을 파악 하는데 드론은 1분 15초, 화재 진압대원은 3분 44초로 나타났다.
두번째로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돝섬에서 실시한 해상 실종 사고 실험에서도 조난자를 파악하는데 드론은 최고 6배가 빨랐다. 소방서에서 2.5㎞ 떨어진 현장까지 도착시간이 드론은 5분이었지만 고무보트는 7분, 수색대원은 10분이 걸렸다. 조난자를 발견에는 드론이 5분 32초로 고무보트(9분 43초), 수색대원(33분)보다 2~6배 빨랐다.
또 마산회원구 팔용산 암벽등반 추락 사고의 경우 드론의 현장 도착시간은 2분 58초, 구조대원은 15분 58초로 나왔다. 환자의 상태를 카메라로 줌인 촬영해 지휘본부가 소방헬기 투입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도 드론의 장점이다.
김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을 정리한 ‘드론의 소방분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논문을 10월 6일 국민안전처가 주관하는 ‘제 28회 국민안전 119소방정책 콘퍼런스’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김 교수는 “드론이 분초를 다투는 재해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생명을 구할 수 있지만 ‘초경량비행장치(드론)는 인구밀집 지역이나 야간에는 비행을 금지한다’는 항공법 때문에 실제 투입은 상당히 제약돼 있다”며 “재난ㆍ재해 발생으로 인한 긴급 출동 시 예외를 인정해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림청 연구원 출신인 그는 재난ㆍ재해 신기술 개발 분야가 전공이다. 일본 교토(京都)대학 방제연구소 유학과 오스트리아 빈의 국제응용시스템 분석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올해 전주대에 부임했다.
글ㆍ사진=최수학 기자 shcho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