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공포가 계속되고 있다. 규모 5.8의 12일 강진에 이어 19일 밤 규모 4.5의 여진이 또 다시 전국을 뒤흔들었다. 예민한 사람은 서울에서도 느낄 정도였다. 기상청은 “400여 회에 이르는 여진 중 가장 강력한 것”이라면서도 “규모 4.0~5.0의 여진 가능성은 처음부터 열어뒀기 때문에 심각한 상황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12일의 본진을 넘어서는 여진 가능성은 적다는 예측이다.
하지만 상당수 전문가들은 규모 6.0을 넘는 대지진의 전조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년 이상 여진이 지속되고 규모도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규모 5.8의 강진이 양산단층을 한번 크게 흔들었기 때문에 새로운 지진이 올 수 있다는 경고음도 들린다. 그런 만큼 재난 컨트롤 타워인 국민안전처와 예측기관인 기상청의 대응을 지켜보는 국민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12일 국민안전처 홈페이지는 다운됐고 긴급재난문자는 지진 발생 9분이 지나서야 일부 지역에만 전달됐다. 국민안전처는 비난 여론이 고조되자 홈페이지 처리 용량을 최대 80배까지 늘려 문제점을 해결했다고 자신했다. 재난문자 발송 시스템도 재점검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19일에도 홈페이지는 먹통이 됐고 문자 발송 지연 역시 반복됐다. 지진 대피요령 등 상황 별 매뉴얼도 여전히 공유되지 않았다.
기상청의 대응도 여전했다. 기상청은 지난주 두 차례 강진이 발생한 직후 “조만간 사람이 체감할 수 있을만한 지진은 더 없을 것”이라며 국민 불안을 잠재우기에 급급했다. 땅 속에서 일어나는 천재지변을 정확히 예측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나, 1주일 뒤 상황도 제대로 못 맞추니 국민들이 신뢰하지 않는 것이다.
정부는 뒤늦게 경주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하는 등 민심 수습에 나섰다. 새누리당도 21일 경주에서 긴급 현장최고위원회를 열기로 했다. 하지만 국민은 지진 공포를 괴담 탓으로 돌리며 전시 행정에 치중하는 정략적 접근보다는 재난 대응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재정비, 국민 안전을 보장하는 조치가 나오길 바라고 있다.
세 차례의 큰 지진으로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확연해졌다. 더욱 걱정스러운 건 원전과 방사능시설 밀집지역에서 지진이 집중ㆍ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점이다. 경주 일대에는 양산단층을 비롯해 수십 개 활성단층이 있다지만 단층 구조 등 알려진 게 거의 없다. 속히 전문가를 동원해 경주 일원을 중심으로 정밀 조사에 나서는 한편 원전 추가 건설 등 에너지 정책도 재고해 마땅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