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함경북도 두만강 유역에 발생한 최악의 홍수 피해와 관련해 국제사회에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지난 14일 북한 중앙통신보도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몽골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자국 주재 9개국 외교관들을 초청해 수해현황을 설명하고 수해복구 지원을 호소했다. 유엔대표부를 통해 수해 긴급지원을 요청하는 이메일을 국제적십자사 등 국제기구와 미국의 대북지원 단체들에도 발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제사회의 반응은 냉담하다. 국제적십자연맹이 긴급구호 용으로 52만 달러를 지원했고, 유엔 산하 세계보건기구도 17만 달러 상당의 긴급구호품을 보내기로 한 정도가 고작이다. 북한이 최대 우방인 중국에 수해복구지원 요청을 했는지 여부와 중국의 반응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국제사회의 이 같은 반응은 충분히 예견된 것이다. 조선중앙통신 보도대로 이번 홍수피해가“해방 후 처음으로 되는 대재앙”(조선중앙통신)인 상황 속에도 김정은 정권은 지난 9일 5차 핵실험을 강행했다. 정상적인 정부라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러고도 국제사회에 수해복구지원을 요청하고 나섰으니 정말 뻔뻔한 집단이다.
북한 당국이 유엔 피해조사단에 밝힌 바에 따르면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2일 사이 제10호 태풍 라이언록 등에 의한 홍수로 138명이 숨지고 400여명이 실종됐다. 마을이 통째로 토사에 묻히는 등 가옥 3만여 채가 파손돼 14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60만 명이 식수와 보건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도로와 철도 등 기간시설 피해도 심각하다. 북한은 각계의 수해복구지원 활동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는 등 군중동원을 통한 복구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장비와 물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데다 맨 손으로 돌멩이를 나르는 식이어서 이른 시일 내 복구는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거듭된 북핵 실험으로 남북관계가 최악인 상황에서 우리 정부도 선뜻 대북 수해지원에 나설 기류는 아니다. 북한은 우리 정부나 대한적십자사, 국내 대북지원단체 등에 지원요청을 해오지도 않았다고 한다. 지난해 8월 하순 함경북도 라선시 일대의 홍수 때도 정부는 북한의 공식 요청이 없다는 이유로 지원을 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유례 없는 수해로 고통 받고 있는 북한 주민들을 마냥 외면해도 되는지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가옥을 잃은 14만명의 이재민들은 머지 않아 닥칠 겨울을 맨몸으로 견뎌야 할 상황이다. 어떤 식으로든지 이들을 지원할 방법을 찾는 게 인도적 도리에 맞다. 김정은 정권과 북한 주민들을 구별해 대처해야 한다고 말해온 박근혜 대통령 아닌가.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