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 무장 독립운동 1세대 김혁 선생 손자 김진도씨
“할아버지의 기록을 찾기 위해 동생과 10여년간 중국 연변과 일본을 돌아다녔습니다, 독립운동사는 대한민국의 뿌리인데 기록이 없다고 등한시할 것이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기록을 찾아 연구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합니다."
독립운동가 김혁 선생의 후손인 김진도(71)씨는 15일 조부가 남긴 발자취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세월을 회상하며 이렇게 말했다. 김혁 선생은 1875년 태어나 1896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입학했으며 고종의 친위대로 근무했다. 1907년 8월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자 고향으로 돌아가 독립운동을 하다 일본군의 표적이 돼 만주로 건너갔다.
김 선생은 만주 항일 무장독립 운동단체인 흥업단과 서로군정서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며 김좌진 장군 등 후배들을 양성했다. 북만주 지역 독립운동 단체를 통합한 신민부 설립을 주도하는 등 활발히 활동하다 1928년 일본군에 붙잡혀 징역 10년 형을 선고받았다. 혹독한 수감생활을 하던 김 선생은 1936년 고향으로 돌아갔으나 감옥에서 얻은 병으로 1939년 숨졌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건국훈장 중 가장 낮은 단계의 훈장이다. 김씨는 “조부가 독립운동가라는 이야기는 집안 어른들에게 들었지만 어떤 분인지는 자세히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교사 생활을 하며 평범하게 지내던 김씨는 1970년대 말 과거 김 선생을 수행했던 이광훈 광복회장에게서 조부의 업적을 듣게 된 이후 할아버지의 흔적을 찾아 나섰다. 수소문 끝에 중국 연변대학에 독립군 관련 자료가 일부 보존돼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으나 대학에 1만 달러씩 수 차례 기부하고 나서야 자료를 검색해 수집할 수 있었다고 한다. “연변대학의 자료로 할아버지의 행보는 알 수 있었지만 객관성이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동생과 일본 국회도서관으로 향했어요. 일본 국회도서관에 있는 마이크로필름을 샅샅이 뒤진 끝에 당시 수사 자료와 관련 신문기사 등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형제가 조부에 관한 자료를 모으기 위해 쓴 돈은 2억원이 넘는다고 한다. 김씨는 할아버지의 행적을 조사하며 일본강점기 훌륭한 독립운동가들이 많이 있었지만 이들의 행적을 찾는 국가의 노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절실히 깨달았다고 했다. “할아버지가 상당히 영향력 있는 독립운동가였지만 기록이 국내에 없다는 이유로 정부는 무관심했습니다. 다행히 동생이 사업을 하며 경제적 여유가 있어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지만 할아버지처럼 잊힌 독립투사가 무수히 많을 것입니다. 정부 차원의 노력이 절실한 이유입니다.”
유명식기자 gija@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