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생존학생 등 피해자들이 언론보도나 인터넷 게시물 때문에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보상 문제와 관련한 오보와 편파성 보도가 피해자들에게 언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세월호 특조위)가 김은지 전 단원고 마음건강센터장과 김학범ㆍ남희선 마음건강센터 연구원에게 의뢰해 진행한 ‘세월호 참사 피해자 등에 대한 언론보도 피해 및 명예훼손 실태조사’에 따르면 참사의 직ㆍ간접적 피해자 124명 중 85명(68.5%)이 언론보도나 인터넷 게시물을 보고 상처를 입거나 고통 받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참사 당시 단원고 3학년 학생(간접피해) 37명을 대상으로 한 1차 조사, 생존학생(직접피해) 34명을 포함해 이들의 부모 및 단원고 교직원, 안산지역주민 등 126명을 대상으로 한 2차 조사로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생존학생 34명 중 30명이(88.2%) 2014~2015년 재학 시절 ‘세월호’ ‘단원고’ ‘안산’ 등에 대한 언론보도와 인터넷 게시물을 보고 정신적 고통을 받았다고 답했다. 이들 중 17명(50%)은 고등학교 졸업 후에도 피해가 지속됐다고 응답했다.
직ㆍ간접 피해자들은 언론을 통해서가 아닌 일상 생활에서도 모욕적 발언 등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46.9%가 세월호와 관련한 모욕, 명예훼손, 혐오표현적 발언이나 행동을 오프라인에서 직접 듣거나, 전해 듣거나,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직ㆍ간접 피해자 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면접에서 이들은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각종 오보와 피해자를 배려하지 않은 언론취재 관행, 안산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대한 보도 등 때문에 언론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고 털어놨다.
언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갖게 된 배경에 대해 21명 중 8명이 보상과 관련한 오보와 편파성 보도 때문이라고 답했다. 특히 이들은 당시 불거진 생존학생 특례입학 논란에 가장 큰 상처를 받았다고 털어놨다.
김은지 전 센터장 등은 “언론의 오보 및 편파성 보도로 인한 피해는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지만 이에 대한 대처 방법이나 적극적인 주변의 도움도 미미했다”며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 및 배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월호 특조위는 27일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조아름기자 archo1206@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