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이 늘고 기름진 음식 섭취가 늘면서 우리나라의 비만 인구가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용유 등을 통한 식물성 지방 섭취량이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우리나라의 19세 이상 비만 인구 비율은 31.5%였다. 비만 인구 비율은 체중(kg)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인구의 비율이다.
우리나라의 비만 인구 비율은 10여년 전인 2001년(30.3%)보다 1.2%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일본의 비만 인구 비율보다도 6.7%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1인당 하루 평균 칼로리 섭취량 역시 2001년 1,881㎉에서 2014년 2,063㎉로 10% 가까이 늘었다. 성인 하루 평균 권장 칼로리(2,000㎉)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 수치는 평균 값으로 실제 칼로리를 필요 이상으로 섭취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변화는 한식 대신 서양식ㆍ중식 등 기름진 음식을, ‘집밥’ 대신 외식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3대 영양소(탄수화물ㆍ단백질ㆍ지방) 섭취 비중을 들여다보면 탄수화물은 64.5%, 단백질은 14.5%로 각각 1.1%포인트, 0.6%포인트 줄어든 반면 지방은 20.9%로 1.7%포인트 증가했다. 절대량을 따져봐도 1인당 하루 평균 지방 공급량은 2001년 83.9g에서 2014년 98.27g으로 14.37g(17%)이나 늘었다.
지방 종류별로 식물성ㆍ동물성 지방 모두 증가하긴 했지만, 전체 지방 섭취량의 70% 가량을 차지하는 식물성 지방 섭취량이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식용유, 팜유 등으로 조리한 음식 종류가 크게 늘면서 2014년 기준 1인당 하루 평균 식물성 지방 공급량은 2001년(58.2g)보다 10g 이상 늘어난 68.5g이었다. 같은 기간 동물성 지방은 25.7g에서 29.8g으로 4g 증가하는 데 그쳤다. 통상 동물성 지방에 비해 식물성 지방이 건강에 더 나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지나치게 많은 식물성 지방을 섭취하는 것 역시 건강에 해롭긴 마찬가지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황명철 농협 축산경제리서치센터장은 “과거 일본에서 비만이 사회적 문제로 불거졌을 당시에도 식물성 지방이 주범으로 꼽힌 적이 있었는데, 식습관 변화로 우리나라도 비슷한 패턴을 따라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비만ㆍ당뇨 예방 차원에서 정부가 ‘설탕과의 전쟁’을 선포하기도 했는데, 절대량이 늘어나는 지방 섭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진주 기자 pearlkim72@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