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의 사제’ 김종철 시인의 2주기를 맞아 김종철 전집(문학수첩)이 출간됐다. 196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돼 등단한 이후 2014년 7월 5일 작고할 때까지 50년 가까이 이어온 시작 활동을 한 권에 담아냈다. 첫 시집 ‘서울의 유서’(1975)부터 ‘오이도’(1984), ‘오늘이 그날이다’(1990), ‘못에 관한 명상’(1992), ‘등신불 시편’(2001), 시선집 ‘어머니, 우리 어머니’(2005), ‘못의 귀향’(2009), ‘못의 사회학’(2013), 유고시집 ‘절두산 부활의 집’(2014)까지 시인이 평생 이룬 시세계를 집대성했다.
중학생 시절부터 시를 쓰기 시작한 김종철 시인은 스물 한 살에 등단한 이후 유현한 신화적 심상과 탐미적 언어로 직조한 독특한 상상 세계를 펼쳐 문단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때론 마술적이고 때론 현실풍자적인 그의 시세계가 ‘못’이라는 특정한 주제에 집중된 것은 1990년대 들어서다.
제4시집 ‘못에 관한 명상’에서 앞으로 펼쳐질 못의 시학의 방향성을 예시한 그는 두 번째 ‘등신불 시편’에 불교적인 색채를 담아내 전작에서 보여준 기독교적 세계관과 대조를 보여줬다. 연달아 나온 ‘못의 귀향’과 ‘못의 사회학’은 못의 존재론을 더욱 심화하고 자유와 평등, 죄와 참회, 용서와 사랑의 정신으로 나아갔다는 평가를 받았다.
유고시집인 ‘절두산 부활의 집’은 둘째 딸의 도움을 받아 작고하기 2주 전까지 미발표들을 정리해 묶은 것이다. 시인은 췌장암 진단을 받고도 한국시인협회장을 맡아 ‘시의 달’을 제정하고 시인의 마을을 조정하는 등 의욕적인 활동을 펼쳤다. 이번 전집을 엮은 문학평론가 이숭원씨는 “피안으로 떠나는 마지막 뱃고동이 울릴 때 이런 시를 읊조릴 수 있는 사람은 참으로 드물다”며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이렇게 시인의 자리를 지킬 수 있었던 것은 하늘의 축복에 예술가의 의지가 결합한 결과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수현 기자 soo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