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보호단체와 수의사들이 동물 생산업을 허가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동물보호법 개정 건의안을 24일 국회에 전달했다. 최근 신문과 방송 등 언론에서 이른바 ‘강아지 공장’의 열악한 실태를 다룬 후 비난 여론이 빗발치자 반려동물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위해 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사를 전달한 것. 반면 반려동물 생산, 유통업자 수백명은 국회 앞에서 반대 집회를 열었다.
동물보호단체, 수의사단체 등 28개 동물 유관 단체들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동물보호법 개정 건의 행사를 갖고 건의안을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에게 전달했다. 건의안의 주요 내용은 ▦동물의 생산·유통·판매에 걸쳐 신고제에서 허가제로의 전환 ▦반려동물의 인터넷, 매체를 통한 상업적 광고와 인터넷 판매 금지 ▦무면허 자가진료 행위 금지 등이다.
동물보호단체인 팅커벨프로젝트의 황동열 대표는 “야만적인 강아지 공장을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전환해 생산자들이 강아지들을 돈벌이 수단으로만 삼지 않도록 동물보호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대표는“동물보호단체뿐 아니라 수의사단체, 동물병원 등 동물을 사랑하는 단체들이 연대해서 동물개정법에 한 목소리를 내는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이날 국회의사당 앞에선 반려동물 생산·판매·유통업 종사자로 구성한 한국반려동물총연합회 회원 수백여명이 ‘편파방송 및 동물보호법 개악 규탄 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보도자료를 내고“동물 생산, 판매, 유통 종사자들을 철저히 배제한 채 동물보호법 개정이 시도되고 있다”면서 “편파방송 이후 추산 불가능할 정도로 피해액이 축적돼 업종이 고사 직전까지 몰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맞서 동물자유연대, 카라, 케어 등 동물보호단체 활동가들은 국회 앞에서 “동물학대 영업을 생존권으로 정당화할 수 없다”며 1인 시위를 이어나갔다. 이들은 “번식, 경매업자들은 반려동물을 쓰다 버리면 또 사는 소비재로만 인식하기 때문에 자기들의 생존권만 주장하는 것”이라며 “반려인들의 의식 변화로 경매장에서 강아지 가격이 폭락하고 있다. 번식장에서 강아지를 사지 않으면 그들도 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은경기자 scoopko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