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지자체 “공유경제는 청년 문제 해결의 혁신 모델”

입력
2016.06.22 20:00
0 0
서울 동작구 대방동에 조성된 청년공유공간인 '무중력지대'에서 청년들이 자유롭게 공간을 이용하고 있다. 무중력지대 제공
서울 동작구 대방동에 조성된 청년공유공간인 '무중력지대'에서 청년들이 자유롭게 공간을 이용하고 있다. 무중력지대 제공

2030세대가 공유경제의 능동적인 소비자로 부상함에 따라 지자체도 청년층을 공략한 공유정책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공유경제를 청년실업과 주거문제 등 기존 정책으로 해결하지 못했던 청년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하기 시작한 것이다.

서울시는 2012년 ‘공유도시 서울’을 선언한 이후 청년 문제 해결하는데 공유 개념을 활용하고 있다. 공유 주택을 만들어 저렴한 공간을 제공하고 공간 개방과 창업 지원 등 공유경제 인프라를 조성해 청년 창업을 돕는 식이다.

‘한지붕 세대공감’ 사업은 대표적인 성공 사례다. 이 사업은 빈 방이 있는 65세 이상 어르신과 자취방이 필요한 대학생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대학생은 주거 비용을 시세 절반 가격으로 절약할 수 있다. 또 낡은 고시원과 여관ㆍ모텔, 도시 재생 구역 빈집 등을 활용해 청년층에 빈방을 공급하는 ‘빈집 살리기’ 사업도 반응이 좋다. 서대문구의 공유주택에 거주하는 대학생 이정희씨는 “주거 문제는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이라면서 “월세비용과 안전문제 때문에 고민이 많았는데 살아보니 좋은 대안이라고 생각돼 주변에 추천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간 개방도 청년 공유정책의 한 축이다. 청년들이 비싼 임대료 때문에 업무 공간이나 창업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공간을 무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은평구의 ‘청년허브’, ‘구로ㆍ금천 G밸리’, 대방동의 ‘무중력지대’등은 2013년 이후 조성된 청년 공유공간이다. 카페나 스터디 룸처럼 돈을 내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만큼 머물러 갈 수 있기 때문에 취업준비생부터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 사장까지 찾는 사람이 다양하다. 무중력지대 관계자는 “요즘 청년들은 경제적 압박에 억눌려있는데 이런 것들에 벗어나 제약 없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고, 다양한 커뮤니티를 만들어 창업기회를 만들기도 한다”면서 “문을 연지 1년 만에 1,800여명이 회원으로 가입했고, 하루 평균 방문자만 100명에 이른다”고 말했다. 시는 2018년까지 2개의 공간을 추가해 청년 공유공간 5곳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주변 대학가가 많은 자치구를 중심으로 자원ㆍ재능 공유 움직임도 활발하다. 서대문구는 지난 4월부터 신촌공유지대 프로젝트를 추진, 스터디룸, 회의실, 세미나실, 파티룸, 공연장 등 총 500곳의 공유 공간을 발굴해 인증하고, 정보를 제공한다. 또 지난 5월에는 연희동의 문화 공간들과 청년 작가들을 하나의 전시로 연결한 마을예술축제인 ‘연희, 걷다’를 개최해 청년과 지역주민 모두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과제도 있다. 지원 내용을 따져보면 공공시설 개방이나 보조금 지급에 국한돼 있다는 점이다. 전효관 시 혁신기획관은 “청년을 위한 공유정책이 지금보다 활성화되려면 지역 커뮤니티를 모아주는 중간 단체나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스타트업 기업들이 다양해질 필요가 있다”면서 “다양한 청년 커뮤니티가 만들어 질 수 있도록 공간을 발굴해 조성하는 한편 실질적으로 청년의 삶에 보탬이 되는 소규모 공유 기업들을 지원해 생태계를 키워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손효숙기자 sh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