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공항 이전 싸고 찬반 논란에
노선 확대 등 수익성도 주목
지난 10년간 영남지역의 논쟁거리였던 신공항 건설이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이 났지만 풀어야 할 과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지역 주민들의 민원이 빗발치는 소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추산된 비용보다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는 건 아닐지, 노선구축 등 수익성 확보가 가능할지 등 하나하나 만만치 않은 쟁점들이 대기 중이다.
우선 김해공항이 확장될 경우 소음확산에 따른 민원 발생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가뜩이나 김해공항은 항공기가 바람 방향에 따라 선회해 이착륙하는 방식이라 소음피해 지역이 넓은 편인데, 이번 확장으로 유동량마저 늘어 소음 피해는 더욱 늘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새로 신설되는 서측 활주로는 기존 김해공항 활주로 남측 옆에서 3.2km 기울어진 형태라, 부산 강서구 강동동 덕계마을까지 이어진다. 김해공항이 24시간 운항이 불가능한 것도 이 때문인데, 지역에선 벌써부터 반발 움직임이 역력하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정확한 조사를 해봐야 알겠지만 추가 활주로 건설로 1,000가구 미만이 소음피해 가구가 될 것으로 예측되는데, 주민들에게 협조를 구하고 설득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10조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됐던 밀양, 가덕도와 달리 김해공항 확장의 경우 투자비용이 38억달러, 우리 돈으로 4조원 남짓으로 추산됐지만 이 또한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22일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은 “김해공항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인프라 구축에 6,000억원이 든다고 했는데, 충분한 예산인지 모르겠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김해공항 확장안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예상 비용을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잡은 것 아니냐는 것이다. 공항 자체가 연약지반에 있어 추가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대해 최진석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미 기존 노선이 마련된 상태에서 추가하는 교통 인프라기 때문에 큰 비용이 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해공항은 군 공항이라는 한계도 여전한 과제다. 이번 확장이 군 공항 관제에 영향은 주지 않는다고 국방부에서 밝히긴 했지만 추후 공항 확장 문제 등이 다시 제기될 경우 이전이 재점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지낸 천영우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은 “군공항 이전 불가를 고수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하는 반면, 허희영 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김해는 한미방위조약에 근거한 군사요충지라 이전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수익성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수익의 기준점이 될 영남지역의 항공수요 전망에는 긍정적이지만, 인천공항에 집중된 장거리 국제노선을 얼마나 끌어올 지가 공항투자의 실익을 얻을 수 있는 관건으로 보고 있다. 이근영 한국교통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현재도 미국, 유럽 등 국제선 수요가 김해에도 꽤 있어 공항이 활성화되면 장거리 노선은 자연히 확충될 것으로 본다”며 “인천과 김해공항을 함께 허브공항으로 키울 수 있을 지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박관규 기자 ac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