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ㆍ통신요금 성실 납부실적 등 비금융거래정보를 신용평가사(CB사)에 제출한 사람 100명 중 8명만이 신용등급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신용평가점수만 상승했고, 대출이자 감소 등 실질적인 혜택을 볼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는 것이 공식 확인된 것이다.(본보 4월26일자 16면 보도)
금융감독원은 올해 1월 말부터 지난달 말까지 모두 2만5,274명이 새로 도입한 개인신용평가 개선 제도를 활용해 통신ㆍ공공요금 납부실적을 CB사에 제출했지만, 이 중 2,116명(8.37%)만이 신용등급이 상승했다고 12일 밝혔다. 신용평점이 상승한 이들은 2만3,867명으로 전체의 94.4%에 달했지만, 정작 등급 상승으로 실제 혜택을 본 이들은 극히 일부에 그친 것이다. 제도 시행이 4개월여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더러도 앞서 최소 212만명, 많게는 708만명의 신용등급이 상승할 거라던 금감원 전망과는 터무니없이 못 미친다는 평가다. 비금융거래정보로 인한 신용평점 상승폭이 최대 15점에 불과해 30~100점인 등급 간격을 뛰어넘기 힘든 탓이다.
제출한 자료도 공인인증서 본인 확인을 하면 납부실적이 CB사에 자동 접수되는 건강보험(41.0%)과 국민연금(39.7%)이 대부분이었다. 대학생이나 가정주부 등 신용기록이 부족한 이들이 활용 가능한 통신요금(14.4%), 가스료(2.4%), 전기료(1.7%), 수도료(0.9%) 등의 제출 실적은 저조했다.
실적납부 참여 확대를 위해 금감원은 제도 개선을 검토 중이다. 금감원은 “내년 상반기에 통신ㆍ공공요금 성실납부실적을 꾸준히 제출한 소비자에 대해서는 신용평가 시 가점 상승폭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통신회사 등의 통신료 납부 실적이 CB사에 직접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대혁 기자 selected@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