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어느 미용사가 뇌병변 장애를 앓아 몸이 불편한 사람에게 터무니없이 많은 요금을 내게 한 일이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 약자에게 차별 대우로 상처를 준 데 대해 비난을 퍼부었다. 그러나 소수자에 대한 차별이 꼭 그런 행동으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무심코 사용하는 언어 표현으로도 상처를 줄 수 있다. 우리가 잘 모르고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말 중에는 다른 사람을 차별하거나 배제하는 뜻이 담긴 말들이 있다. 이런 말을 쓰면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누군가에게 상처를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예전과 달리 요새는 ‘병신’이나 ‘불구자’ ‘절름발이’ 같이 장애인을 직접적으로 비하하는 말은 잘 쓰지 않는다. 그런 말을 쓰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라는 인식이 어느 정도 정착된 듯하다. 굳이 장애인을 가리켜야 할 때에도 ‘장님’이나 ‘벙어리’ 대신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등 법정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비유적 표현에서는 사정이 다르다. 신문이나 방송 같은 데서도 ‘벙어리 냉가슴’이니 ‘장님 코끼리 만지듯’이니 하는 표현들을 흔히 쓴다. 어딘가 구색이 잘 갖추어지지 않은 것을 나타낼 때에는 ‘절름발이 위원회’ 같은 비유를 곧잘 한다. 그러나 이런 것도 쓰지 말아야 한다.
물론 나쁜 의도는 전혀 없으며 예전부터 사용하던 속담이나 관용 표현을 쓴 것뿐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렇더라도 이런 표현에 상처 받는 사람들이 있다면 피하는 것이 옳다. 굳이 장애에 빗댄 표현을 쓰려고 하지 말고 ‘말 못할 고민에 빠졌다’든가 ‘주먹구구식’ 등 다른 표현을 찾아보려 애쓸 필요가 있다. 장애인을 차별하고 비하하는 것이 잘못이라는 생각이 없던 시절에 만들어진 말들을 계속 사용하기보다는 그것을 대체할 새로운 표현들을 궁리해 봐야 하겠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