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ㆍ투자 시급
삼성 스타트업 지원 ‘씨랩’ 눈길
작년 35개 기업 조기 사업화 지원
‘디디콰이디’ ‘메이쭈’ ‘어러머’ ‘써우거우’ 는 국내에선 낯설지만 올해 초 미국 경제지 포춘이 발표한 ‘2016 유니콘 리스트’에 포함된 중국의 스타트업이다.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로 무장한 신생 혁신 기업인 스타트업 가운데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를 넘으면 유니콘이라고 부른다. 전설 속의 뿔 달린 말처럼 희귀하다는 의미이지만 중국에서는 벌써 유니콘 수십 마리가 뛰어다니고 있다.
중국은 ‘스타트업의 낙원’
포춘이 선정한 올해 유니콘 174개사 중 2위를 차지한 샤오미를 비롯해 무려 35개가 중국 스타트업들이었다. 이중 34개는 2000년 이후 창업했다. 반면 국내에서는 기업가치가 각각 50억 달러와 10억 달러인 쿠팡(20위)과 옐로모바일(171위) 등 단 2개만 유니콘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저성장 시대를 헤쳐나가기 위한 해법으로 거의 모든 나라들이 스타트업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속도와 질에서 한국과 중국의 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26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2012년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GEM)에 참여하는 54개 회원국 중 ‘창업자 지수’ 세계 1위에 올랐다. 2010년 세계 15위에서 불과 2년 만에 14계단을 뛰어오르는 괴력을 과시했다.
지난해 말 암웨이가 각국의 창업의향과 창업의지 등을 점수화한 ‘2015 암웨이 글로벌 기업가정신 리포트’(AGER)에서도 중국은 79점을 받아 인도, 태국과 함께 1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평균인 64점보다 낮은 44점으로, 조사 대상 44개국 중 28위에 그쳤다.
중국 공상총국이 발표한 2014년 중국의 창업자 수는 291만명에 달했다. 창업을 꿈꾸는 젊은이를 일컫는 ‘창커’(創客)는 이미 사회적 화두다. 리커창 중국 총리가 지난해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대중창업 만중창신’(大衆創業 萬衆創新)을 주창한 뒤 창업 열풍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지난해 중국에서 새로 생긴 기업은 무려 443만개에 이른다. 같은 해 국내 신설법인(9만3,768개)보다 44배 이상 많은 규모다.
양국의 인구 차이(26배)를 넘어서는 창업 기업 수의 차이는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무관하지 않다. 중국은 지난해 7조원 규모의 창업 기금을 조성했고, 18조원 상당의 세금 감면 혜택을 제공했다. 최소 자본을 낮추고 서류 간소화 등 행정 절차도 대폭 축소해 창업을 유도하고 있다. 베이징 중관춘과 광둥성 선전은 이미 미국 실리콘밸리를 위협하는 스타트업 창업의 메카로 성장했다. 구글 애플 우버 에어비앤비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은 중국 스타트업에 투자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달려들고 있다.
갈 길 먼 우리 스타트업
IT산업이 그랬듯이 스타트업은 신산업 발전에 핵심 역할을 한다. IT리서치 기업 가트너는 2017년까지 사물인터넷(IoT)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50%를 설립 3년 미만의 스타트업이 개발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 역시 창조경제의 일환으로 청년창업을 통한 스타트업 활성화를 추진 중이지만 중국에 비하면 크게 뒤처진다.
2012년 국내 대학생 중 창업자는 407명으로, 전체 대졸자 약 56만명의 0.0007%에 불과했다. 2014년에는 734명으로 조금 늘었어도 졸업자 대비 창업 비중은 미미하다. 만 39세 미만 창업으로 범위를 넓히면 지난해 신설된 법인은 역대 최다인 2만5,404개지만 요식업 등을 제외할 경우 스타트업이라 할 만 한 기업은 많지 않다.
중국에 비해 우리 청년들이 취업에 목을 매는 것은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지난해 10월 한중일 수도권 거주 대학생과 대학원생 5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년 창업 인식조사’에서도 확인된다. 한국은 응답자 179명 중 6.1%가 창업을 선호한 반면 중국은 169명 중 40.8%가 창업을 희망했다. 취업을 바라는 비율도 한국(78.8%)이 중국(38.5%)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한국에서는 ‘실패에 대한 부담’(38%)을, 중국의 경우 ‘창업아이템이 없다’(46.2%)를 창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꼽은 것도 양국의 차이점이다. 김보경 국제무역연구원 기업경쟁력실 연구원은 “취업의 대안으로 창업을 고려하는 한국에서는 IT보다 요식업 등 생계형 창업 의향이 높다”며 “중국에서는 실패 경험을 귀중한 자산으로 여기는 것도 우리와는 큰 차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주요 대기업들이 다각도로 청년 창업을 지원하고, 재입사 기회까지 주며 아이디어를 가진 직원들의 사외 벤처 육성을 밀어주고 있어 호평받고 있다. 특히 삼성은 대학생이나 신생 창업 기업들이 소프트웨어 개발과 테스트, 시제품 제작 과정에서 삼성 직원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인 ‘씨랩’(C-LabㆍCreative Lab)을 대구 창조경제혁신센터 안에 운영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삼성은 씨랩을 통해 지난 1년간 35개 벤처ㆍ스타트업 기업들의 조기 사업화를 지원했다. 삼성의 지원을 받은 기업 중 의료용 특수 모니터 업체인 ‘코제’와 자동차용 부품업체인 ‘성진포머’ 등은 미국과 유럽으로 납품 계약까지 협의할 정도로 성장했다.
전해영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민간 주도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해외진출을 장려해야 한다”며 “모바일과 의료ㆍ헬스 부문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정책과 투자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창훈 기자 ch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