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ㆍ김무성ㆍ최경환 3자회동
단일성 집단지도 체제 등 합의
비대위ㆍ혁신위 통합하고
비대위원장 외부인사는
주류ㆍ비주류 합의로 추대키로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비박계와 친박계의 양대 수장인 김무성 전 대표와 최경환 의원을 만나 당 수습 방안에 전격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은 20대 총선이 끝난 지 40일이 지나도록 당 재건을 이끌 비상대책위원회도 꾸리지 못한 채 표류해왔다.
24일 새누리당에 따르면, 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김 전 대표와 최 의원을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만나 당의 임시지도부인 비대위와 혁신위를 통합하되 비대위원장은 외부에서 영입하기로 뜻을 모았다. 앞서 새누리당은 당선자 총회와 중진의원들의 의견을 들어 정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하도록 결론 냈으나 상임전국위와 전국위가 친박계의 집단 보이콧으로 열리지 못하면서 추인 받지 못했다. 정 원내대표는 본보 통화에서 “비대위원장과 원내대표직은 분리하되 외부인사를 주류와 비주류 양측이 합의하는 인물로 추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친박계 재선 그룹은 23일 회동해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지낸 박상증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헌법재판관을 지낸 김희옥 전 동국대 총장 등을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했다고 이완영 의원이 전했다.
이와 함께 세 사람은 지도체제 변경 여부도 논의해 11년 만에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바꾸는 방안에 대해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은 과거 2005년 한나라당 시절 제왕적 총재 체제의 폐해를 없애고자 현재의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했다. 전당대회에서 최다 득표자를 당 대표로 선출하고, 차점자들이 최고위원을 맡는 합의제 형식이다. 그러나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는 당 대표 선출과 최고위원 선출 경선을 분리해 당 대표에 힘을 실어주는 체제다.
한 중진 의원은 “차점자 최고위원들이 당 대표의 권한에 도전하는 등 ‘봉숭아 학당’소리를 들었던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의원들 사이에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당내에선 이날 ‘3자 회동’을 두고 ‘밀실 회동’이란 비판도 나오고 있다. 비박계 한 당선자는 “현재 구도 상 친박계는 상대적으로 유력 당 대표주자가 있고, 비박계는 혼재해있다”며 “당권을 친박계에 넘겨주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날 회동에서 당헌상 당권ㆍ대권 분리조항 등 차기 대선구도와 민감한 사안까지 이면 합의한 게 아니냐는 의구심도 나왔다. “계파 해체를 강조해온 정 원내대표가 되레 계파의 수장들에게 기대 계파를 인정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됐다.
반면 중도성향의 한 의원은 “정 원내대표가 현재의 꼬인 상황을 풀기 위해 대표성 있는 두 중진을 만난 것 같다”며 “의원들의 동의를 얻기는 쉽다는 장점은 있다”고 말했다. 김 전 대표와 가까운 한 의원 역시 “지금은 당내에서 뭐든지 대책을 논의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3자 회동 전에 김 전 대표와 의견을 나눴고 판단을 일임했다”고 전했다.
앞서 정 원내대표는 이날 출근길에 기자들을 만나 “중도의 길은 고속도로 중앙선 위에 서 있는 것처럼 위험하다”는 말로 현재 심경을 대신했다. 친박계와 비박계 사이에 끼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처지를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지은 기자 luna@hankookilbo.com
서상현기자 lss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