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여당으로 지방선거 참패
패배 책임 놓고 진영 간 갈등
탈당 이어지며 결국엔 분당
2007년 대선 앞 재결합했지만
큰 표 차로 지며 野 신세 전락
새누리당의 내분 사태가 10년 전 열린우리당 사태와 유사하다는 분석이다. 당시 우리당은 당내 갈등 끝에 탈당, 분당을 거친 끝에 이듬해 야당인 한나라당에 권력을 내줬다. 10년간 집권한 새누리당이 이와 유사한 과정을 밟고 있다는 지적이다.
2004년 152석의 과반 의석을 확보한 여당인 우리당은 2006년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참패했다. 16개 광역자치단체장 중 전북 단 1곳에서 이겼을 뿐이다. 야당인 한나라당이 광주, 전남ㆍ북, 제주를 뺀 12곳을 휩쓸었고, 옛 민주당은 광주ㆍ전남에서, 무소속이 제주에서 당선됐다. 우리당은 수도권 기초단체 66곳을 잃었고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의 기초단체장도 완패했다. 이는 이번 4ㆍ13 총선에서 패배한 새누리당과 동일하다.
이 같은 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지도부는 해산했고, 김근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아 당 추스르기에 나섰다. 하지만 선거 패배의 원인분석과 책임을 놓고 당내 갈등은 그치지 않았다. 그리고 이듬해 대선을 어떻게 치를 것인가를 두고 당내 진영 간 의견 충돌이 벌어졌다. 일부에서는 “설사 지더라도 열린우리당 이름으로 선거를 치러야 한다”고 주장했고, 다른 한편에서는 “반(反) 한나라당 세력을 규합해 대선을 치러야 한다”고 맞섰다. 한 야권 인사는 “2004년 4대 개혁 입법 처리 문제, 2005년 노무현 대통령의 ‘대연정 제안’에 대한 대응 문제, 그리고 ‘개혁’과 ‘실용’이라는 정체성 문제까지 3년 가까이 쌓여온 당내 갈등이 대선을 앞두고 폭발한 것”이라며 “잇따른 선거 패배 이후 당을 어떻게 바꾸고 무엇을 해야할 지에 대한 고민보다는 대선에 대한 생각 뿐”이었다고 말했다.
이는 현재 새누리당에서 진행되는 친박 대 비박 대립과 유사하다.
결국 그 해 말 ‘반 한나라당 세력을 모으겠다’며 최재천, 이계안 의원 등이 먼저 열우당을 떠났고, 이어 2007년 2월 김한길 의원이 당내 보수 그룹인 ‘바른정치모임’ 소속 의원들과 함께 집단 탈당했다. 탈당파들은 김 의원 주도로 곧바로 ‘중도개혁통합신당추진모임’이라는 교섭단체를 꾸렸다. 결국 집권 여당인 우리당은 창당(2003년 11월) 40개월도 안 돼 둘로 쪼개졌고, 노 대통령은 더 이상의 탈당을 막겠다며 자진 탈당했다.
김한길 의원 등 탈당 세력은 같은 해 5월 ‘중도개혁통합신당’을 만든 뒤, 6월에는 민주당(옛 새천년민주당)과 합당해 ‘중도통합민주당’을 만들었다. 또 8월에는 우리당 탈당파와 손학규 전 경기지사 진영이 결합해 ‘대통합민주신당’이 창당됐으며 보름 뒤 우리당에 남은 세력과 손을 잡는다. 이후 이들은 정동영 당시 의원을 대선후보로 확정했지만 대선에서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에게 사상 최다 표 차(530여 만표)로 패했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당시 열우당 내부의 각 진영끼리 선거패배 책임을 떠넘기다 탈당 후 재결합을 반복하며 유권자들에게 피로감만 안겨줬다”며 “환골탈태를 해도 모자랄 판에 내 몫만 챙기다 망한 꼴”이라고 말했다. 정치권 한 인사는 “지금 진행되는 새누리당 사태는 결국 야당 하겠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상준 기자 buttonpr@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