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로 4ㆍ13총선이 끝난 지 1주일이 됐다. 유권자들은 여소야대(與小野大)는 물론이고 제1 야당 더불어민주당에 가장 많은 의석을, 창당된 지 두 달밖에 안 된 국민의당에 캐스팅보트를 쥐어줬다. 정치권에선 ‘신의 한 수’라는 말이 나왔다.
이도 잠시, 벌써부터 각 당에선 차기 당권을 둘러싸고 잡음이 새어 나오고 있다. 당헌에 없는 ‘추대론’을 내세워 현 대표의 임기를 연장하려는 움직임에 상대 측의 견제가 본격화한 탓이다.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 대표는 총선 직후 언론인터뷰에서 전당대회 출마와 관련,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다만 추대 시 수용 여부에는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대선 때까지 자신이 당을 이끌겠다는 의중을 드러낸 것이다. 이에 전대 출마를 준비 중인 정청래 의원이 “셀프 추대는 북한 노동당에서나 가능한 일”이라고 공격하자, 김 대표도 영입 당시 문재인 전 대표가 “대선 때까지 당을 이끌어달라”고 말한 사실을 소개하며 물러서지 않았다. 정 의원의 거친 언사는 물론, ‘계파 패권’을 비판해 왔던 김 대표가 최대 계파의 좌장 문 전 대표를 방어논리로 내세운 것에도 아연할 뿐이다.
국민의당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 측에선 총선 약진을 바탕으로 추대론에 군불을 피우고 있다. 전국적 당 조직이 취약한 데다 제3당이 정기국회에서 성과를 거두려면 당권 경쟁보다 내실을 다지는 게 우선이라는 이유에서다. 일견 타당한 말이지만, 천정배ㆍ박지원ㆍ정동영ㆍ박주선 등 당권ㆍ대권을 노리는 당선자에게 당권을 넘기지 않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 당 대표가 대선출마를 위해 직을 내려놓아야 하는 12월까지 전대를 연기하자는 의견도 같은 맥락이다. 일각에선 “안 공동대표가 당을 장악, 대선까지 이어가려는 심산이 아니냐”는 비판이 적지 않다.
이번 총선은 일방적으로 더민주나 국민의당의 손을 들어준 게 아니다. 정부여당의 일방독주에 따른 어부지리 성격이 크다. 이를 당권 유지나 당권 경쟁의 명분으로 삼는다면, 유권자들은 또 다른 대안을 찾아 나설 수밖에 없다. 두 야당의 총선 잔치는 이미 끝났다.
김회경 정치부기자 herm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