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 10명 중 6명은 발병 6개월 뒤 일자리 복귀에 성공하는 반면, 나머지 4명은 신체기능이 회복 여부와 관계없이 일자리를 잃게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연희ㆍ장원혁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2012년 8월~2014년 10월 전국 9개 병원에서 뇌졸중 치료를 받은 93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들은 모두 발병 전 직업 활동을 했고, 6개월간 재활치료 후 혼자 이동은 물론 신체활동이 가능한 상태로 건강을 회복한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뇌졸중 치료 후 일터 복귀는 업무수행능력 회복 여부보다는 나이나 성별,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56.9세였으며, 남성이 77.1%를 차지해 여자보다 많았다.
조사 결과, 이들 중 뇌졸중 치료 후 다시 일터로 되돌아간 이들은 560명(60%)이었지만, 그렇지 못한 환자는 373명(40%)으로 집계됐다. 직업을 되찾은 환자의 대부분(97.1%, 544명)은 예전과 같은 곳에서 근무를 했고 일부는(2.9%, 16명) 직업만 바꿨을 뿐 일을 계속했다.
일터 복귀 여부를 가른 것은 환자 성별과 나이가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미만 남성의 경우 70.2%가 일을 되찾았지만, 여성은 같은 조건에서 48.3%에 불과해 큰 차이를 보였다. 65세를 넘는 경우 남녀 모두 일터로 되돌아가는 비율이 절반(남성 46.4%, 여성 45.2%)을 밑돌았다.
교육 수준도 뇌졸중 후 일을 계속할 수 있을지 가늠할 수 있는 열쇠 중 하나로 꼽혔다. 직장 복귀에 성공한 560명 중 대졸 이상 학력이 38.4%로 가장 많았고, 고졸이 33.2%로 그 뒤를 이었다.
직업별 복귀비율을 따졌을 때 최상위 직종으로는 농업과 어업, 임업 등이 꼽혔다. 이 분야 종사자의 66.4%가 다시 일을 손에 잡았으며, 이어 전문직 종사자가 62.4%로 뒤를 따랐다. 반면 군인은 36.4%로 전 직종 중 가장 낮았을 뿐만 아니라, 차상위 직군인 단순 노무직(51.8%)과도 큰 격차를 보였다.
이렇듯 뇌졸중 환자가 치료 후 일을 다시 할 만큼 실제적 능력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일을 할 수 없는 건 아직까지 우리 사회가 뇌졸중 환자에 대해 부정적 견해에 따른 것인 만큼, 사회적 합의로 풀어야 한다는 의미다.
김연희 교수는 “뇌졸중 환자를 치료할 때 직업재활을 비롯해 다방면을 고려해야 할 때”라며 “특히 나이와 성별에 따라 직업복귀가 차이 나는 경향이 확인된 만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재활의학 분야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리허빌리테이션 메디신'(JRM) 최근호에 게재됐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