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물량 올해 5만7,000가구 예정… 분양가 상한제 적용돼 분양가 서울 전셋값 수준
전매제한 등 규제ㆍ조건은 잘 따져봐야
201 대 1(위례 우남역 푸르지오3단지), 157 대 1(위례 보미리즌빌), 155 대 1(위례 우남역 푸르지오1단지).
지난해 수도권 분양 단지 중 평균 청약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3개 단지는 모두 위례신도시에서 공급한 공공택지 물량이란 공통점이 있다. 서울 강남 등 일부 부촌 지역에선 3.3㎡당 4,000만원을 넘는 게 일상이 되어버린 고분양가 시대에 공공택지 아파트는 거의 유일하게 ‘착한 분양가’를 내세우고 있다. 이 같은 인기는 올해도 이어질 걸로 보인다. 다만 올해는 지난해보다 공급량이 줄었고, 상반기에 물량이 더 많은 만큼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29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 해 공급 예정인 전국의 공공택지 물량은 12만2,815가구로 지난해(17만1,515가구)보다 39.7%나 줄었다. 지방 물량(6만5,744가구)은 작년(6만6,568가구)과 비슷하지만 수도권 물량(5만7,071가구)이 작년(10만4,947가구)보다 절반 가까이(45.6%) 감소했다. 시기별로는 상반기에 전체 분양의 53.7%(6만5,893가구)가 몰려 있다.
공공택지는 정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주도적으로 개발하는 땅으로 위례, 광교, 동탄2신도시 등이 대표적이다.
이곳에서 공급하는 단지들은 분양가 상한제(집값 안정화를 위해 공동주택 건축비에 감정가를 더하고 그 가격 이하로만 분양하는 제도)가 적용되는 덕에 같은 입지와 조건이라도 민간택지에서 공급하는 아파트 또는 재개발ㆍ재건축 아파트보다 분양가가 10~20% 저렴하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특히 수도권의 공공택지 단지들은 분양가가 서울의 전셋값 수준인 곳이 많아 세입자들의 관심이 높다”며 “신규 공공택지 조성이 잠정 중단된 상황이라 공공택지 내 중소형 아파트는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25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은 3.3㎡당 평균 1,253만원으로 동탄2신도시(3.3㎡당 평균 1,000만~1,100만원), 다산신도시(1,100만원), 세종시(800만~900만원) 등 공공택지 단지의 분양가를 웃돌고 있다.
하지만 장점 못지 않게 공공택지 아파트엔 까다로운 조건들이 붙어 있어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일단 전매제한 기한을 확인해야 한다. 계약 후 전매제한 기간이 지방은 1년, 수도권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지구 여부와 주변 시세 대비 분양가 수준 등에 따라 1~6년으로 천차만별이다.
청약 자격은 같은 공공택지 내라도 민영아파트인지, 공공분양 아파트인지에 따라 확연히 달라진다. 민영아파트는 민간택지에서 공급할 때와 마찬가지로 청약통장에 가입한 지 1년(지방은 6개월)이 지나면 누구든 1순위로 청약이 가능하다.
반면 공공아파트는 청약통장 조건 외에도 무주택 가구 구성원이어야 하고 전용면적 60㎡ 이하의 경우엔 추가로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 ▦부동산 2억1,550만원 이하 ▦자동차 2,794만원 이하 등의 자산 요건까지 갖춰야 한다.
생활 편의시설의 위치도 잘 살펴봐야 한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 전문위원은 “공공택지는 기본적으로 주택 건설 후 인프라 조성이 이루어지므로 입주 초반 불편을 겪을 수 있다”며 “단지 선택 시 브랜드보다 핵심교통망과 중심상업지구와의 인접성 등을 우선적으로 따져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강아름기자 sara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