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硏, “저소득층 체감 덜해”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역대 최저 수준인 0.7%. 하지만 이 같은 저물가도 소비자의 소득 수준, 가구원 수, 연령대 별로 체감도가 많게는 2배 이상 차이 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체감물가가 높은 계층에 대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뒤따랐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이 29일 발표한 ‘저물가의 가계 특성별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소득 하위 20%(소득 1분위) 계층이 느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로 5분위(소득 상위 20%) 계층의 0.4%보다 2.5배 가량 높았다. 이는 반대로 고소득층이 저물가의 혜택을 더 본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1분위 가구는 대체로 식료품, 주거, 보건, 통신비 지출이 높고 5분위 가구는 교통, 오락ㆍ문화, 교육비를 더 많이 쓰는데, 작년 주류ㆍ담배와 식료품 물가는 오른 반면 교통 물가는 저유가의 영향으로 떨어진 것이 상반되게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1분위의 체감 물가상승률은 2012년부터 매년 0~0.7%포인트씩 5분위보다 높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가구원 수를 기준으론, 1인 가구보다 식구가 많은 가구가 저물가 혜택을 더 누렸다. 구성원이 적은 가구는 주류ㆍ담배 물가에, 구성원이 많은 가구는 교육 물가에 영향을 많이 받은 결과다. 이들의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1인 가구 0.9% ▦2~4인 가구 0.7% ▦5인 이상 가구 0.6% 순이었다.
물가는 연령 별로도 체감도가 달랐지만, 연령은 소득ㆍ가구원보단 체감도에 끼치는 영향력은 덜했다. 백다미 선임연구원은 “저물가 혜택이 덜한 저소득층과 1인 가구를 위해 식료품 물가 안정 같은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송옥진기자 clic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