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사퇴 논란 수습 인사 없어 결국 문재인 전 대표가 나서
구주류의 지도부 흔들기로 계파 패권도 다시 고개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23일 당 잔류 의사를 밝히면서 비례대표 파동은 일단락됐다. 이 과정에서 김 대표의 일거수일투족에 당 전체가 들썩이면서 더민주의 취약성이 또 한번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장 20대 총선을 20여일 앞두고 선거를 진두 지휘해야 하는 수장이 당무를 거부했음에도 문제 수습에 나선 인사들이 보이지 않았다. 이번 파동의 공동책임이 있는 비대위원들은 사태 해결에 역부족이었고, 결국 최대 계파인 친노무현계를 대표하는 문재인 전 대표가 나서야 했다. 다수의 현역의원들과 예비후보들은 눈 앞의 표를 챙기느라 자신이 타고 있는 배가 격랑에 흔들리는 것에는 무신경했다.
그간 고질병으로 언급돼 온 계파 패권도 다시 고개를 들었다. 당초 중앙위원회의 불만은 당헌에 명시된 표결 권한을 인정해 달라는 것이었다. 비대위의 명단 작성 과정에서 당선 가능성을 기준으로 설치된 AㆍBㆍC 그룹간 칸막이가 표결을 무력화한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불만 제기 과정에서 김 대표의 ‘비례 2번’ 배치에 대한 비판과 함께 김 대표를 겨냥한 ‘총선 이후 역할론’에 대한 견제가 본격화했다. 지도부가 영입한 일부 인사들이 탈락한 반면, 구 주류와 가까운 인사들이 당선권에 대거 포진된 중앙위 표결 결과는 단적인 예이다.
더욱이 중앙위의 집단 반발은 대외적으로 ‘지도부 흔들기’로 비쳐졌다. 그간 더민주는 경쟁 세력이 당권을 잡을 경우 끊임 없는 지도부 흔들기를 통해 당내 리더십 약화를 자초해 왔다. 스스로 정권 획득보다 당권 획득이 우선인 정당이란 이미지를 만든 것이다. 문 전 대표가 김 대표를 영입한 이유도 비주류의 사퇴 요구 때문이었다. 유성진 이화여대 스크랜튼 학부(정치학) 교수는 “비상국면 등의 이유로 당내 의사결정에 대한 룰이 수시로 바뀌다 보니 지도부 결정에 승복하지 않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비상 상황에서 김 대표에게 전권을 부여한 만큼 이에 걸맞은 예우와 권한 행사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김 대표의 독선적 리더십에 대한 우려는 있지만, 총선 이후 대선까지 당을 질서 있게 관리할 당내 적임자가 마땅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또 군사정부 때 국가보위비상대책위에서 활동했고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 캠프를 지휘한 김 대표를 삼고초려한 것도, 정체성 시비보다 당의 체질 개선을 통해 정권 교체를 해야 한다는 절박감이 더욱 컸기 때문이란 지적이다. 한 핵심 당직자는 “10여 년간 당의 중심이었던 구 주류의 정체성이 김 대표의 영입만으로 쉽게 바뀔 수는 없다”면서도 “이번 갈등은 당의 체질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불가피한 진통”이라고 말했다.
김회경기자 herm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