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을 필수가 아닌 선택 사항으로 여기는 경향이 날로 뚜렷하다. 반드시 결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점차 낮아져 이제는 국민의 절반 남짓만이 ‘결혼은 필수’라고 보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5 한국의 사회지표’ 자료에 따르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14년 56.8%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비율은 2008년 68.0%에서 2010년 64.7%, 2012년 62.7% 등으로 해마다 급감, 6년 만에 10% 이상 떨어졌다.
이런 인식은 현실에 그대로 투영되고 있다. 혼인 건수는 2011년 32만9,100건을 기록한 후 3년 연속 감소해 2014년에는 30만6,000건에 불과했다. 초혼 연령은 2014년 남자는 32.4세, 여자는 29.8세로 계속 높아지고 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남자는 1.9세, 여자는 2.3세가 많다. 특히 가임 여성의 결혼이 늦어지는 게 커다란 문제다. 늦게 결혼할수록 출산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2015년 합계출산율은 1.24명으로 정부의 2020년 목표치인 1.5명에 한참 못 미치고 있다. 결혼이 줄어들면서 1인 가구 비율도 늘었다. 결혼을 미루며 혼자 사는 젊은 층이 늘어난 탓이다. 2010년 1인 가구 비율이 23.9%였으니 지금은 더욱 늘어났을 것이다. 1980년 4.8%, 1990년 9.0%, 2000년 15.5%와 비교해볼 때 증가속도가 너무 빠르다.
결혼 기피 현상은 청년실업, 높은 결혼 비용, 주거비용, 자녀양육, 교육비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 가운데서도 핵심은 청년실업이다. 대학을 졸업해도 정규직으로 취직할 확률이 낮은 상황에서 청년들은 결혼을 ‘금ㆍ은수저’에나 가능한 사치로 여기는지도 모른다. 이대로 방치할 경우 저출산과 저성장, 고령화, 연금부족 등 총체적 사회 난맥과 국가적 재앙으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국민 개개인의 삶의 행복뿐만 아니라 장기적 국가ㆍ사회 발전을 위해서도 많은 청년들이 가정을 꾸릴 수 있어야 한다. 한때의 세태나 유행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로 파악해 청년들의 결혼 의욕을 끌어올리는 데 사회적 지혜를 모아나가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