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바닷물을 식수로… 섬마을 가뭄 해결사 ‘해수담수화 사업’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바닷물을 식수로… 섬마을 가뭄 해결사 ‘해수담수화 사업’

입력
2016.03.22 04:40
0 0

수자원公, 전국 39곳 위탁 운영

이온제거 등 국내기술 최고수준

2018년 세계 시장 규모 13조 전망

21일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열린 ‘2016 국제물산업박람회’를 찾은 시민들이 바닷물을 담수로 정수하는 해수담수화 시설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24일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물 산업 관련 기업 등 160곳이 참가했다. 부산=뉴시스
21일 부산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열린 ‘2016 국제물산업박람회’를 찾은 시민들이 바닷물을 담수로 정수하는 해수담수화 시설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24일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물 산업 관련 기업 등 160곳이 참가했다. 부산=뉴시스

인천시 옹진군 연평도는 섬마을이지만 지난해 43년만에 찾아온 극심한 가뭄에도 비교적 물 걱정 없이 보낼 수 있었다. 소청도, 자월도 등 인근 섬에선 지하수가 모두 말라 뭍에서 온 페트병 수돗물에 의존해야만 했다. 연평도가 이들 섬과 다른 점은 2013년부터 가동을 한 해수 담수화 시설이 있다는 점이다. 수심 60m 취수구에서 민물과 바닷물을 끌어와 정수작업을 해 하루 최대 200㎥의 수돗물을 생산해낸다. 신중근 이장은 “시설이 없었을 땐 다른 섬처럼 농사는커녕 먹는 물이 언제 떨어질지 걱정 해야만 했다”고 말했다.

전 세계적인 물 부족시대에 해수담수화 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기후변화와 상관없이 고갈 우려가 없는 바닷물을 식수로 활용하는 게 물 부족을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담수화는 바닷물에서 염분을 제거한 후 먹을 수 있는 물(담수)로 전환하는 기술. 21일 영국의 물 전문조사기관인 글로벌워터인텔리전스(GWI)에 따르면 현재 150개국에 약 1만7,000개 시설이 운영되며 하루 7,500만㎥ 담수를 생산해내고 있다. 약 4조원의 시장은 2018년까지 13조원 규모로 팽창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내도 식수를 구하기 힘든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해수담수화가 적극 활용되는 추세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위탁운영중인 시설만 전국에 39개로, 하루에 생산하는 물이 1,970㎥에 달한다. 지난해 금강에서 물을 끌어다 쓰기 위해 도수로 공사까지 한 충청남도에선 시설 마련을 정부에 건의하고 나섰을 정도다. K-water 관계자는 “머리카락의 100만분의 1만큼 작은 이온까지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국내 기술이 최고조에 올라와 있는 만큼 가뭄 해결을 위해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인식 부족은 넘어야 할 산이다. 부산시 기장군 시설의 경우 하루 최대 4만5,000㎥의 수돗물 생산이 가능한데도, 주민들이 “고리원전에서 11㎞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며 방사능 오염 가능성을 2년째 제기하고 있다. 부산시가 미국 국가위생재단(NSF) 등에 의뢰해 “문제가 되질 않는다”는 의견을 내놨지만 진척이 없는 상태다. 김형수 성균관대 수자원학과 교수는 “생소한 물을 사용해야 한다고 여기다 보니 주민들이 확신을 갖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것”이라며 “물 부족이 극심해지고 있는 만큼 과거처럼 취수 등에 의존하는 것보다는 직접 생산ㆍ공급하는 적극적인 자세로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관규기자 ac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