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실업자를 분류하는 기준은 지난 4주 동안 단 한 번이라도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했느냐 여부인데요. 예를 들어 지난 4주 동안 단 한번이라도 어떤 회사에 전화를 하거나 방문해서 일자리가 있는지 문의했거나 일자리를 구한다는 의사를 표시하고 취업 사이트나 공공기관에 본인의 구직 정보를 등록했거나 했어야 합니다.
그런데 요즘은 청년들의 구직 방식이 많이 달라졌죠. 굳이 회사 인사팀에 전화를 해보지 않아도 구인 구직 사이트를 방문해서 몇 번 클릭만 하면 나를 필요로 하는 회사가 사람을 뽑는지 아닌지를 알 수 있습니다. 즉 신입사원을 뽑느냐고 회사 인사팀에 전화로 문의를 하지 않고 단순히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몇 가지 검색만 해봐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죠.
그러나 통계청은 이렇게 구인구직 사이트를 방문해서 서핑을 한 것은 적극적인 구직활동으로 보지 않습니다. 즉 매일매일 구인 사이트를 방문해서 취업정보를 찾아봤더라도 일자리를 찾은 것으로 간주하지 않고 회사 인사팀에 전화해서 문의한 것은 일자리를 찾아본 것으로 간주합니다. 젊은이들의 취업정보 탐색 방식이 디지털화되면 될수록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는 겁니다. 특히 디지털화된 정보가 많은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보다 ‘억울한 청년’들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요즘엔 구인구직 사이트에 본인의 정보와 원하는 직종을 등록만 해놓으면 적당한 구인정보가 등록되었을 때 자동으로 알려주는 서비스도 있습니다. 그런 서비스에 가입한 청년들은 가끔 휴대전화 문자를 초조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장 최선의, 최대한의 구직활동입니다. 그러나 그런 디지털화된 최신 구직활동은 통계청이 적극적인 구직활동으로 보지 않고 그런 청년들은 실업자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그냥 취업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죠.
1주일에 한 시간이라도 소득이 있는 일을 하면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 규정도 국제공통규정이긴 하지만 수많은 청년실업자들을 '일자리가 있는 취업자'로 변신시킵니다. 일자리를 못 찾은 기간이 길어질수록 차비라도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할 수 밖에 없는데 아르바이트를 하는 학생들은 모두 '실업자가 아닌 사람들'로 분류됩니다. 정부가 미취업 학생들을 위해 청년취업보조수당을 신설해서 나눠준다면 아마 청년실업률이 크게 뛰어오를 겁니다. 많은 학생들이 아르바이트를 그만두고 취업 준비만 할 가능성이 있으니까요.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