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 13년치 통계 분석
농ㆍ어업이나 단순노무직 등에 종사하는 육체 노동자의 사망률이 전문직 종사자의 2.7배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일 이혜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팀이 산업안전보건연구원과 함께 고용보험 가입자 1,143만5,937명(남성 548만2,967명, 여성 327만9,373명)을 대상으로 직업군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왔다. 13년 간(1995~2008년) 사망률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는 대상자를 9개 그룹으로 나누고 직업군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연령구조가 표준화된 인구 10만명 당 연간 사망자 수)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기대수명을 못 채우고 일찍 사망하는 사람이 많은 직업군일수록 연령표준화 사망률이 높다.
그 결과 ▦농ㆍ어업 숙련 근로자(남 563.0명, 여 206.0명) ▦단순노무직 근로자(남 499.0명, 여 163.4명) ▦장치ㆍ기계 조작원ㆍ조립원(남 380.3명, 여 157.8명) ▦기능원ㆍ기능근로자(남 365.1명, 여 158.1명) ▦서비스 및 상점ㆍ시장 판매 근로자(남 362명, 여 149.7명) ▦기술공 및 준전문가(남 285.6명, 여 136.4명) ▦입법자ㆍ고위임직원ㆍ관리자(남 252.8명, 여 122.3명) ▦사무직원(남 249.7명, 여 115.7명) ▦전문가(남 209.1명, 여 93.3명) 등 순으로 사망률이 높았다. 특히 남성의 경우 사망률이 가장 높은 농ㆍ어업 숙련 근로자 직업군의 사망자 수는 가장 낮은 전문가군(과학자ㆍ변호사 등)의 2.7배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단순노무직ㆍ전문직 간 사망률 차이도 2.4배에 달했다.
직업군별 사망률 차이가 나는 것은 손상(외력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입은 부상)이나 중독(섭취ㆍ흡입한 물질의 독성으로 입은 부상)에 따른 사고ㆍ자살 사망이 육체 노동자들한테서 더 많았기 때문이다. 손상ㆍ중독으로 사망한 단순노무직 근로자 수는 전문가에 비해 남성은 10만명 당 96.9명, 여성은 21.6명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정신질환 사망률은 단순노무직이 전문가보다 남성 5.31배, 여성 12.11배나 더 높았다.
이혜은 교수는 “우리나라의 직업군별 사망률에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며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직업군에 대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경성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