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과 낡은 건물 비중이 높고 인구와 일하는 사람 수, 신규 주택이 줄어드는 등의 도시 쇠퇴 현상이 인천의 전통적인 원도심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신시가지인 남동구, 연수구 일부 지역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인천발전연구원의 ‘복합쇠퇴지수를 활용한 인천시 도시 쇠퇴 특성 분석 연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도시 쇠퇴 현상은 중구ㆍ동구ㆍ남구 등에서 부평구와 서구 일대로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남동구와 연수구 일부 지역까지 쇠퇴 현상이 확산돼 일부 외곽의 신도시를 제외한 기존 시가지 전역이 이미 쇠퇴가 진행됐거나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연구보고서는 설명했다. 도시 쇠퇴 현상이 뚜렷한 지역은 경인국철 인천역ㆍ주안역ㆍ부평역 등 역세권 주변 등이다.
연구보고서는 “(쇠퇴 현상이 확산되면) 장기적으로 기존 시가지가 자생력을 잃고 지역 격차가 크게 벌어짐으로써 지역 발전이나 경쟁력 향상을 가로막는 부담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인천시는 외곽지역의 신규 개발은 가급적 피하고, 기존 시가지 중심의 도시재생으로의 정책 전환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연구보고서는 특히 “80년대 이전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추진된 경인고속도로 주변과 재개발ㆍ재건축 등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의 쇠퇴가 뚜렷하다”며 “계획적 정비나 개선이 이뤄지지 않으면 쇠퇴 문제가 보다 심각해질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복합쇠퇴지수는 10년간 인구변화율, 독거노인가구 비율, 10년간 산업 총 종사자수 증감률, 노후건축물 비율 등 13개 지표를 복합적으로 고려해 산출한다. 쇠퇴지수가 높으면 그만큼 도시가 쇠퇴했다는 것이다. 연구보고서는 강화ㆍ옹진군과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제외한 120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쇠퇴지수를 뽑아내 분석했다.
이환직기자 slamhj@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