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에 이어 북측의 폐쇄 통보로 기업들의 연쇄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입주기업 뿐 아니라 이들에게 원ㆍ부자재를 납품하는 협력업체나 이들에게서 완제품을 납품 받는 비입주기업들까지 피해를 보게 됐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원ㆍ부자재를 납품하고 용역 등을 제공하는 협력업체만도 5,000여개에 이르러 연쇄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개성공단기업협회 관계자는 “협력업체들이 대부분 영세한 곳이라서 타격이 더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협력업체들은 피해 보상을 받기도 어려울 전망이다. 이 관계자는 “3년 전 입주업체 피해 규모를 조사하는데도 한 달 반이 넘게 걸렸는데 5,000여개 기업의 피해 조사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의류업체들은 수출길까지 막히게 생겼다. 해외 수입업체들이 개성공단에서 생산된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개성공단에서 공장을 가동 중인 의류업체 A사 관계자는 “국내에서는 개성공단만큼 낮은 임금으로 생산하기 힘들다 ”며 “결국 같은 비용의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을 더 이상 만들 수 없어서 수출이 어렵게 됐다”고 우려했다.
개성공단에 입주한 섬유관련기업들의 대부분은 자체 브랜드보다 주문을 받아 제품을 만들어 납품하는 주문자 상표 부착(OEM)방식의 업체들이다. 따라서 이들이 더 이상 개성공단에서 제품을 만들지 못하면 이들로부터 납품 받는 패션업체들도 비상이 걸리게 된다.
입주기업들은 정부의 대체 부지 제공 약속에 대해서도 회의적이다. 입주기업들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는 것이 바로 북측 노동자의 월 20만~30만원 수준으로 알려진 낮은 임금이다. 개성공단기업협회 관계자는 “봉제 분야는 국내 임금으로는 생산비를 낮출 수 없어서 오래전부터 해외에서 생산하고 있다”며 “인건비가 저렴한 베트남, 미얀마 등에서 노동자를 데려오는 것도 영세한 기업들 입장에서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해외에 공장을 건설하는 것도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해 문제다. 전자부품 업체 관계자는 “해외에 공장을 지어서 생산시설을 마련하고 양산에 들어가려면 최소한 1,2년 걸린다” 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입주기업에 긴급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나섰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긴급 회의를 주재하고 “개성공단 입주기업과 협력업체를 상대로 대출금을 회수하거나 금리 인상을 자제해달라” 고 당부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개성공단 입주기업 124곳의 신용공여 규모는 지난해 11월 기준 1조1,069억원이다.
박민식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권영은기자 you@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