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클래퍼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9일(현지시간) 북한이 영변의 핵단지에서 수 주에서 수개월 내에 플루토늄 추출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클래퍼 국장은 이날 상원 정보위원회 출석에 앞서 서면증언을 통해 이같이 진술했다. 클래퍼 국장은 “북한이 3차 핵실험 후인 2013년에 영변의 우라늄 농축시설과 흑연감속 플루토늄 생산 원자로(5MW 흑연감속로)를 포함한 핵시설의 재정비ㆍ재가동을 발표했는데 북한은 실제 영변의 농축 시설을 확장하고 플루토늄 생산 원자로를 재가동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북한은 충분히 오랫동안 원자로를 가동해 왔으므로 수주 또는 수개월 내에 그 원자로의 사용후 연료에서 플루토늄 추출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2007년 6자회담의 2ㆍ13 합의와 10ㆍ3 합의에 따라 5MW 원자로를 폐쇄ㆍ봉인한 뒤 이듬해 6월 냉각탑까지 폭파했으나, 북한은 경제ㆍ핵무력 병진 노선을 채택한 직후인 2013년 4월 2일 5MW 흑연감속로를 재정비ㆍ재가동하겠다고 공식으로 선언한 바 있다.
클래퍼 국장은 이어 “북한은 단거리 탄도 미사일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이르기까지 탄도미사일의 크기와 정교함을 발전시켜왔고, 지난해 5월에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실험에 성공했다는 주장까지 했다”면서 “북한은 또 이동식 ICBM인 'KN08'까지 공개적으로 과시했는데 비행 실험이 충분히 되지 않았음에도 북한은 이미 초기 배치 단계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북한의 지난달 첫 ‘수소탄 핵실험’ 주장과 관련해선 “계속 평가를 하는데 저 위력의 폭발력은 북한의 성공적인 수소탄 핵실험 주장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미 정부는 현재 북한이 수소탄 핵실험이 아닌 단순한 핵실험이나 증폭핵분열탄 실험을 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클래퍼 국장은 또 사이버 위협이 미국의 최우선 안보과제라고 적시했다. 그는 점점 복잡해지는 네트워크와 각종 기기의 확산으로 인해 미 정부와 민간 분야의 기간망이 사이버 해킹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강주형기자 cubi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