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부모의 경제적 부에 따라 자녀의 '수저'가 결정된다는 '수저론'이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이를 뒷받침할 만한 또 하나의 보고서가 나왔다.
부모의 사교육비 지급 능력에 비례해 자녀의 학업성적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 사진=연합뉴스
9일 공개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Ⅱ'연구보고서(책임연구자 여유진·정해식 등)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가 도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부모의 학력은 자녀의 학업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모든 연령집단에서 부모의 사회계층 수준 및 사회적 자본이 자녀의 학업성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19~65세 사이의 경제활동 참가자를 연령대별로 구분했다. 청년층(19~34세)과 중장년층(35~49세), 고령층(50~65세) 등 3세대로 나눈 것. 이를 토대로 각 연령대별로 15세 무렵의 학업성적 분포(성적 최하위-하위-중위-상위-최상위)를 평가했다.
그 결과 부모의 경제적 보상수준이 매우 높은 집단의 경우 자녀의 학업성적이 최하위인 비율은 고령층 1.4%, 중장년층 17.7%, 청년층 8.2% 등으로 조사됐다.
반면 부모의 경제적 보상수준이 매우 낮은 집단의 경우 최상위 학업성적을 보이는 자녀의 비율은 고령층 29.5%, 중장년층 49.1%, 청년층 12.6%로 나타났다.
청년층일수록 부모의 경제적 능력에 따라 학업성적이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셈이다.
연구소 측은 이에 대해 "우리나라는 사교육의 영향력이 크다. 이런 상황에서 부모의 사교육비 감당능력에 따라 자녀의 학업성취도가 상당부분 지배를 받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교육 당국이 앞으로 공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연구소 측은 조언했다.
김서연 기자 brainysy@sporbiz.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