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가 1일(현지시간) 지카 바이러스에 대해 ‘국제 공중보건 위기상황’(PHEIC)을 선포함에 따라 국제사회도 지카 바이러스 차단과 백신ㆍ치료제 개발을 위한 총력전에 돌입할 태세다.
WHO는 이날 성명을 통해 지카 바이러스ㆍ선천성 기형ㆍ신경계 합병증에 대한 감시와 탐지 향상, 모기 통제 강화, 진단법과 백신의 신속한 개발 등을 위한 국제적 공조를 강조했다. 또 이를 위해 지카 바이러스 감염 감시와 발생국 내 소통 강화, 바이러스 노출을 줄이기 위한 모기 통제 방안 등의 적극적인 전파도 주문했다.
최우선 순위에 오른 과제는 새로운 지카 바이러스 진단법의 개발이다. 발빠른 대처를 위해선 감염 여부를 신속히 확인하는 게 우선이기 때문이다. 각국이 임신부나 가임기 여성에게 각별히 주의를 기울이는 동시에 지카 바이러스 관련 정보를 다른 나라와 신속하게 공유하는 것도 우선 과제로 꼽혔다. 지카 바이러스 발생국을 중심으로 신생아 소두증과 신경질환인 길랭바레 증후군에 대한 감시를 표준화하고 강화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와 함께 중장기 조치로 지카 바이러스 백신과 치료법을 위한 연구ㆍ개발 노력을 강화하고, 지카 바이러스 전파 지역 보건당국이 길랭바레 증후군과 소두증의 증가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WHO는 그러나 2014년 에볼라 발병 당시와는 달리 “지카 바이러스가 전파된 국가ㆍ지역과의 여행이나 교역에 대한 제한은 없다”며 WHO 차원의 여행 제한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지카 바이러스 확산이 매우 위협적인 수준이지만, 사람 간 전파 가능성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 등을 고려한 조치로 보인다.
대신 “지카 바이러스가 확산된 지역으로 여행하는 사람은 바이러스 위험과 모기를 피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제공받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항공기나 공항에 대한 방역 조치도 권고했다. 마거릿 찬 WHO 사무총장은 “현재로서 가장 중요한 예방책은 모기 개체수를 통제하는 것과 임신부 등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개별 국가의 자체 조치도 잇따르고 있다. 미국 보건당국은 임신부에 대해 중남미와 남태평양 국가 여행 자제를 당부했다.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도 임신부에게 발생 국가로의 여행을 출산 이후로 연기할 것을 권고했다. 일본과 홍콩ㆍ대만 등은 지카 바이러스를 법정 전염병으로 지정하는 등 관리ㆍ감독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이번 사태의 진원지인 브라질은 리우데자네이루 하계올림픽에 임신부 방문 금지를 권고하는 고육책까지 내놓았다.
WHO의 이번 조치가 1,000명 가까이 숨진 뒤에야 비상사태를 선포했던 에볼라 사태보다는 빨랐지만 늑장 대응 논란은 여전하다. 브라질에서 이미 지난해 7월부터 소두증 확산이 감지됐지만 그간 손 놓고 있다가 중남미는 물론 유럽과 동남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지카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뒤에야 공식 대응에 나섰기 때문이다.
양정대기자 torc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