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셈에 쓰는 기초공식 ‘구구단’으로 추정되는 숫자가 적혀 비상한 관심을 모았던 백제 시대 목간(木簡·글을 적은 나뭇조각)에 적힌 기록이 전문가 회의에서 구구단으로 최종 결론 났다.
20일 한국문화재재단은 2011년 문화재청의 허가로 실시한 부여 쌍북리 328-2번지 유적조사에서 출토된 목간을 한국목간학회 등 관련 전문가 회의에서 검토한 결과, 이를 한반도 최초 ‘구구표(九九表ㆍ구구법의 공식을 차례대로 적은 표) 목간(木簡)’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목간은 길이 30.1㎝, 너비 5.5㎝, 두께 1.4㎝로 소나무를 얇게 가공한 형태다. 전문가회의는 이 목간이 기존 중국과 일본에서 발견된 것과 달리 매우 체계적, 실용적인 것으로 봤다. 9단부터 2단까지 칸을 나누어 구구법을 기록한 목간은 9단을 가장 상단에 배치했고 각 단 사이 가로 선을 그어 구분했다.
앞서 중국에서는 기원전 3세기경 리야(里耶) 유적에서 구구단이 적힌 목간 표가 출토된 바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광개토대왕릉비와 삼국사기 등 문헌기록에서 구구 셈법 표기와 산학(算學)을 가르친 기록은 있으나 구구표가 표기된 유물은 처음이다.
재단 측은 “이 목간은 ‘구구단이 중국에서 곧바로 일본에 건너가 영향을 주었다’는 주장이 잘못됐음을 보여주는 자료”라며 “중국과 일본에 비해 기록형태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만큼 백제 시대 수리체계가 정립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김혜영기자 shin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