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금은 기술, 나눔은 예술”
"나눔의 DNA를 깨워 더불어 행복한 대구가 될 수 있도록 노력"
"남을 도울 때 행복감 느껴… 면역력 높아진다"
"남을 돕는 것이 나를 돕는 일이다"
대구 최대 번화가인 동성로가 시작하는 중앙파출소 앞 분수대. 올해도 어김없이 사랑의 온도탑이 세워졌지만 아직 수은주는 바닥을 헤매고 있다. 7,000여 만원이 모금될 때마다 1도씩 올라간다. 얼어붙은 경기 탓인지 캠페인 초반임을 감안해도 지난해와 비교하면 훨씬 낮다. 불황일수록 도움의 손길이 절실한 우리의 이웃이 더 많은 법. 함인석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장을 만나 나눔의 의미와 방법,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역할 등에 대해 들어보았다.
_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어떤 곳인가.
“빨간 사랑의 열매가 연상될 것이다. 연중 이웃 돕기 성금을 모아 투명하고 공정하게 필요한 곳에 나누는 기관이다. 과거 모금기관이 난립했을 때, 기부하는 사람들도 피곤하고 또 모금한 성금이 제대로 쓰이는지 의문이 많았다. 이를 위해 1998년 모금창구를 단일화하자는 취지로 관련법이 제정됐고 공동모금회가 출범하게 됐다. 사랑의 열매 배지를 파는 곳인가 하는 분도 있는데, 지금은 아니다. 사랑의 배지를 판매하는 게 아니라, 기부금이 많고 적음을 떠나 감사의 증표로 사랑의 열매를 달아 드린다."
_사랑의 온도탑이 낮다.
"지난달 20일‘희망2016나눔캠페인’출범식과 함께 ‘사랑의 온도탑’을 설치했다. 내년 1월 31일까지 진행한다. 지금까지 13억 9,000여 만원이 모여 20.1도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65% 수준이다. 이대론 목표(69억5,000만원)를 달성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 기업 개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 지난해는 목표 80억2,300만원 중 67억7,700만원을 모금해 84도를 기록, 아쉬웠다. 올해는 수은주가 펄펄 끓기를 기대한다."
_대구 사람들이 외투를 꽁꽁 싸맨 것인가.
“대구 경기가 많이 어렵다.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나눔의 분위기도 위축된 것 같다. 그렇다고 대구 사람들이 인색한 것은 절대 아니다. 지난해 세월호 사고 당시 대기업을 제외하면 전국에서 가장 많은 후원금(15억200만원)을 낸 곳이 대구다. 정부 주도의 청년일자리 지원펀드, 통일기금모금 등 성금을 모으는 곳이 몰려 그런 게 아닌가 한다."
_불경기라서 성금모금이 저조하지만 역설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더 많을 것 같은데.
"대구에 기초생활수급대상자만 10만 명이다. 대구 인구 4%에 달한다. 총 인구는 주는데 이 숫자는 그대로다. 모두 지원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올해 저소득층 개인 7만1,017명에게 84억 2,000여 만원을 지원했고 사회복지시설 937개소에 86억 2,000만원을 지원했다. 1년 간 우리 모금회가 집행할 성금은 연말에 절반이상 모인다. 이것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긴급하게 의료비, 생계비 등을 지원받아야 하는 이웃들이 힘겨운 한 해를 보낼 수도 있다.”
_성금 독려를 위해 모금회에서 하는 일은 무엇인가.
“기부와 나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면서 맞춤형 모금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기부 만족도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1억 이상 기부하여 기금사업이 가능한 개인 고액기부캠페인인 ‘아너소사이어티’, 소규모 자영업자가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착한가게’, 직장단위로 임직원들이 함께 동참하는 ‘직장인 나눔캠페인’, 간단한 ARS(060-700-0050) 등 다양하다. 특히 아너소사이티 회원이 올해만 18명이 느는 등 반응이 좋다. 이번 주에도 한 분이 또 동참의사를 밝혀 53호 회원이 곧 탄생할 예정이다.”
_취임 초 ‘나눔 DNA’를 강조했다.
“대구는 국채보상운동 발상지로서 나눔DNA가 뿌리깊다. 정과 의리의 고장이다. 다만 개인적으로 성금을 내는 분은 약 2만 명, 대구 시민의 0.8%로 개인의 기부문화가 자리를 잡지 못한 것 같다. 개인의 정기기부 참여를 활성화하고 고액기부자 발굴에 힘쓰겠다. 나눔의 DNA를 깨워 더불어 행복한 대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_성금이 제대로 쓰이는지 믿지 못해 못하겠다는 사람들도 많다.
“제대로 된 나눔이 가장 중요하다. 낸 돈이 이상하게 흘러갈까 우려하시는 분이 많다. 직원들에게 ‘모금이 기술이라면 배분은 예술이다’란 말을 자주한다. 한 푼도 헛되지 않게 써야 한다. 그 점에서는 모금회가 으뜸이라 자부한다. 19명의 사회복지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배분위원회가 엄격한 심사를 통해 우리사회 꼭 필요한 곳에 성금이 돌아갈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모금회 부회장인 김준기변호사가 배분위원장을 맡고 있다. 공동모금회에 성금을 내면 자동으로 국세청에 등록돼 기부금 영수증을 받지 않더라도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에서 공제를 확인할 수 있다. 한 푼도 허투루 쓰는 일이 없다는 점을 약속한다.”
_지정기탁이 무엇인가.
“기부자가 특정 주제, 기관, 지원 영역 등을 지정하여 기부하는 것이 지정기탁이다. 기부자 의사에 맞춰 기부가 이뤄지므로 기부만족도가 높다. 2014년 기준 전체 성금 중 72%가 지정기탁이다. 시설에서는 공동모금회를 통한 지정기탁이 직접 기부를 받는 것보다 까다롭다. 성금 사용계획서와 보고서를 모두 제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바른 방향이다. 다만 특정한 곳에만 기부금이 쏠릴 수 있다는 점이 단점이다.”
_모금회 회장으로서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요즘 현물 기부가 전체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많다. 배고팠던 시절을 기억하며 쌀을 사서 기부하는 분, 기업에서 생산한 제품을 보내는 곳도 있다. 얼마 전에는 농기계 회사에서 트랙터를 보내기도 했다. 모금회는 이것이 꼭 필요한 사람을 찾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각자 잘할 수 있는 것, 내가 좀 더 가진 것을 나누겠다는 시민들의 마음이다. 보다 많은 분들이 이렇게 나눔에 함께하면 좋겠다. 사람은 다른 사람을 도울 때 가장 큰 행복을 느끼고 그러면 면역력이 강화된다. 결국 남을 돕는 것이 나를 돕는 것이다. 사랑의 온도탑이 펄펄 끓을 수 있도록 조금씩 사랑을 나눠주길 부탁 드린다.”
약력
현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현 대한체육회 학교체육위원회 위원장
2010~2014년 경북대학교 총장
2012~2013년 한국대학교교육협의회 회장
배유미기자yu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