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 조문정국’이 끝나면서 여당이 ‘선(先)국정현안 처리 후(後)공천룰 논의’로 방향을 잡아가는 모양새다. 당장 이달 내에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을 처리해야 하는 데다 내년도 예산안 법정 처리시한(12월 2일)도 코 앞에 닥쳤다. 노동개혁 5대 법안과 경제활성화법안 역시 이번 정기국회 내에 통과시켜야 한다는 게 여당의 속내다.
공천관리위원회 조기 구성 여부를 놓고 파열음을 내던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은 조문정국 내내 옛 상도동계 동지 시절로 돌아갔다. 상주를 자처하며 나란히 빈소를 지키면서 일시적인 화해 분위기를 조성했다.
김 대표와 사사건건 충돌하던 서 최고위원도 국가장 동안은 날 선 발언을 삼갔다. 26일 최고위원회의에서도 한중FTA 비준안 처리, 노동개혁 등 4대개혁안을 언급하며 “당 지도부와 의원들 함께 연내 개혁 과제 완수를 위해 노력하자”고 주장할 뿐 공천룰 등의 현안은 꺼내지 않았다. 앞서 24일 박근혜 대통령 역시 한중 FTA 비준안과 민생 법안 처리를 강하게 촉구한 마당에 굳이 내홍으로 비칠만한 언급은 자제하는 분위기다.
공천룰 특별기구 구성에 급할 것 없다는 친박계 내부의 중론이 휴전 상황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별기구를 띄워 공천룰 개정 논쟁에 불을 붙일 필요 없이 현행 당헌ㆍ당규를 유지하면 된다는 게 친박계 대다수의 의견이기 때문이다. 친박계 핵심 의원은 27일 “특별기구 구성은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며 “정기국회 현안을 처리하자마자 바로 총선기획단부터 띄워 총선체제로 돌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비박계에선 일반국민 의사 반영 비율을 현행 50%보다 높이고 전략공천이나 컷오프 여지 역시 없애야 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언제라도 공천룰 갈등은 또다시 표면화할 수 있다. 우선추천지역의 적용 범위를 놓고도 논란 가능성이 있다. 현재 당헌ㆍ당규에는 여성ㆍ장애인 등 소수자 배려가 필요하거나 여론조사 결과 상대당 후보보다 경쟁력이 현저히 낮을 경우 등을 적용 대상으로 한정하고 있지만 친박계 일각에선 텃밭인 강남이나 대구ㆍ경북을 포함해 예외를 둬선 안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현역 의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결선투표제 도입 여부도 쟁점 중 하나다.
특히 다음달 15일부터는 총선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됨에 따라 새누리당을 포함해 여의도는 급속히 총선 국면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여서 공천룰 전쟁도 다시 발화할 가능성이 높다.
김지은기자 luna@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