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3ㆍ1운동 이후 설립돼 광복운동을 주도하고 독립정신을 해외에 알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업적을 조명하는 기념관 건립이 본격 추진된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관 건립준비위원회는 임시정부 환국기념일을 맞아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창립총회를 겸한 학술회의를 열고 기념관 건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2004년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사업회는 올해 7월 건립준비위를 구성해 4개월여의 준비작업을 해왔다. 이들은 이날 총회를 계기로 임시정부 설립 100주년이 되는 2019년까지 3.1운동 100주년 기념 조형물 설치 및 기념관 건립을 위한 특별법 추진, 부지ㆍ예산 확보, 전시 자료 준비, 연구 작업 등을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서 전문가들은 “대한민국 정부는 명백히 임시정부를 계승하고 있으며, 이를 기념하고 기억하는데 소홀한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날 발제에 나선 한시준 단국대 역사학과 교수는 “1919년 국내외 각지에서 독립 선언이 연달아 발표돼 한민족이 독립국임을 대내외에 선포했고, 이 독립국을 세운 것이 바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였다”며 “임시정부는 우리 역사에서 처음으로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를 결정, 사용한 국가였고 그 헌법에서 민주공화제를 명시함으로써 민족 역사에 대전환을 이룬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 교수는 특히 1948년 8월 15일 정부가 수립되는 과정에서도 이승만 전 대통령이 임시정부를 계승, 재건하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분명히 했음을 설명했다. 그는 “이승만은 의장으로 제헌국회를 개원하는 자리에서 ‘이 국회에서 건설되는 정부는 임시정부의 계승에서 이날이 29년만에 민국의 부활일임을 공포한다’며 임시정부의 연호를 사용했다”며 “또 국호 역시 ‘임시정부의 국호대로 대한민국으로’정하기로 한다”고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1948년에 새로 건국한 것이 아니라, 1919년 건립된 국가이며 그 역사 역시 1919년부터 시작됐다”고 말해 일각의 건국절 논란에 일침을 가했다.
중국에 건립된 임시정부 기념관의 현황을 돌아본 박걸순 충북대 교수(한국근현대사연구회장)는 “현재 임시정부를 기억하고 있는 곳은 독립기념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백범기념관 등이지만 이 같은 더부살이 전시는 대한민국 법통으로서 임시정부의 위상에 걸맞은 대접이 아니다”라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남의 나라 중국이 그 역사를 보존해 주고 있는 현상을 대통령이 찾아가 감격스러워할 일이 아니라, 그 자랑스러운 역사를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우리 현실을 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북독립운동기념관장인 김희곤 안동대 사학과 교수는 “여러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다양한 연구사업과 교육 등을 추진하는 기념관을 설립하자”고 제안했다.
이날 발제 후에는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의 사회로 종합토론이 진행됐다. 이종찬 준비위원회장은 “화이부동(和而不同)이라는 임시 정부의 정신이야말로 오늘날 한국사회가 추구해야 하는 가치”라며 “이날 학회에서 모인 지혜가 기념관 건립이라는 숙원사업 해결에 중요한 밑받침이 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글ㆍ사진 김혜영기자 shin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