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기야 정부가 물 절약을 호소하고 나섰다. 평균 강수량이 1973년 이후 최저치로 떨어진 데다 전국 다목적댐 저수율도 지난해의 63%에 머물고 있다. 여름 장마와 태풍이 한반도를 비껴간 탓이다. 이 때문에 다목적댐 18개중 9개의 저수량이 위험수위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국토교통부는 “내년 봄 가뭄 극복이 최우선 현안인 만큼 전 국민의 적극적인 물 절약 참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겨울철은 통상 강수량이 적어서 이대로라면 내년 봄이 되어도 가뭄해갈을 기대하기 어렵다. 일단 국토부는 가뭄 ‘심각’ 단계로 20% 급수조정을 감내하고 있는 충남 서부권 8개 시ㆍ군지역의 물 부족해소를 위해 금강 물을 보령댐으로 공급하는 도수로 사업을 내년 2월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전국 다목적댐들의 수위가 계속 내려가고 있어서 내년 봄도 두려운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가뭄의 상시화 가능성이다. 기상이변으로 한반도에서 가뭄 발생 주기가 점점 짧아지고 있다. 과거 2~3년을 주기로 가뭄이 나타났으나 2006년 이후 거의 매년 발생한다. 향후 10년간 가뭄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렇다고 손 놓고 하늘만 쳐다볼 수는 없다. 피해를 줄일 방안을 짜내야 한다. 국민들이 물 절약에 나서야 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물값이 생산원가의 80%에 불과하기 때문에 낭비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일리 있다. 하지만 정부와 정치권이 제 할 일을 하지 않는 것이 더 문제다. 당장 4대강 본류 16개 보에 7억만톤 이상의 물이 들어있다. 이 물을 해갈에 이용하려면 지류ㆍ지천 사업으로 이어져야 하나 ‘4대강 트라우마’로 3년이나 방치돼 있다.
정부는 4대강 지류ㆍ지천 정비를 서두르는 한편, 중소형 가뭄조절용 댐의 추가건설도 검토해야 한다. 또 국토부, 환경부, 농수산식품부,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나뉘진 물 관리도 일원화해야 한다. 정치권도 4대강 논란 따위는 일단 접어두고 가뭄대책에 매달려야 한다. 가뭄은 정쟁으로 다룰 일이 아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