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전 기간 숙소난 '아우성'
올해 전국체전 주 개최지인 강원 강릉시에서 숙박난이 벌어졌다. 때문에 2년 여 뒤 열릴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숙박난 해결이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강릉시에 따르면 22일 폐막한 전국체전 기간 중 체류한 선수단은 1만 여명 규모였다.
그러나 일부 선수단과 임원, 시군 관계자들은 강릉시내가 아닌 인근 동해시나 양양군에 여장을 풀어야 했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경기침체로 숙박시설 수가 줄어든 데다, 가을 단풍철이 겹치면서 남아 있는 객실이 일찌감치 동났기 때문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체전지원 업무를 위해 강릉을 갔는데 숙소를 구하지 못해 주문진에 있는 대학교 기숙사를 이용했다”고 말했다.
문제는 2년 뒤에 열릴 올림픽에서도 이 문제가 다시 불거질 경우 ‘국제망신’을 당할 수 있어 대책이 요구된다.
평창올림픽 기간 조직위원회 운영요원, 해외 취재진, 일반 관람객을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객실은 2만 실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번 전국체전의 두 배가 넘는다. 강릉 올림픽 특구에 들어서는 호텔과 리조트에 2,991개 객실이 있지만 이들을 모두 수용할 규모는 아니다. 지역 내 펜션과 민박, 연수원 등을 합쳐도 1만 여실이 조금 넘을 뿐이어서 숙박시설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더구나 강릉에서는 북미 아이스하키리그(NHL) 선수가 출전하는 아이스하키와 피겨 등 인기종목과 한국의 메달 밭인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경기가 예정돼 구름관중이 몰릴 가능성이 크다. 만약 국내외 관중들이 서울 등 수도권에 묵으면서 당일치기로 강릉 경기장을 찾는 사례가 빈번할 경우 기대했던 경기부양 효과는 기대하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강릉시와 조직위는 숙박대책 마련에 나섰다. 홈스테이 신청자를 모집해 1,000여 개 객실을 확보하고, 옥계항에 접안시설을 증설한 뒤 대형 크루즈 선을 띄우는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강릉시는 “관련 조례를 개정해 숙박시설 환경 개선 사업을 지원하고 체전기간 호평을 받은 ‘스마트폰 QR코드 서비스’를 활용해 숙박난을 해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원도 역시 강릉과 평창 인근인 동해와 속초, 정선 등지를 대상으로 올림픽 관광객을 수용할 숙박시설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박은성기자 esp7@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