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내수를 중심으로 국내 경기 회복세가 지속될 것이란 낙관적 견해를 내놓았다. 성장률 전망치도 올해 2.8%에서 2.7%로, 내년 3.3%에서 3.2%로 각각 0.1%포인트 소폭 인하하는데 그쳤다. 상당수 경제기관들이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대로 낮추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 이제 추가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완전히 접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들이 나온다. 이 총재도 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경기위축 때 통화 완화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통화 완화로 한계기업 늘어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며 확실히 선을 그었다.
다음은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동결 후 가진 기자회견 주요 내용.
-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2.7%, 내년 3.2%. 7월 전망치보다 각각 0.1%포인트 낮춰. 0.4%로 봤던 2분기 성장률이 0.3%로 낮아진 영향. 7월 전망과 큰 차이 없다. 다만 이전 전망에 비해 수출은 예상보다 부진했고 내수(소비 건설투자)가 보다 호조였다.
-물가 전망치는 올해 0.7%, 내년 1.7%. 7월 비해 0.2%포인트, 0.1%포인트 낮아짐. 올해 전망치 하향은 유가 급락 때문.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유가 하락세의 기저효과가 사라지는 내년엔 물가상승폭 커질 전망.
-개별소비세 인하, 블프 등 정부정책이 민간소비 회복세 뒷받침. 소득여건 등 감안할 때 소비 개선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 다만 주거비 증가, 노후 불안 등 구조적 요인 있어 본격 회복될지는 지켜봐야.
-연준 금리인상 시기 불확실성 높아 예단 어려워. 내년 금리인상 기대 높아진 건 사실이나, 옐런 의장 등 연내 인상 필요성 주장하는 연준 위원들 다수여서 연내 인상 가능성도 여전.
-중국 금융·외환시장 불안은 진정됐다. 주가는 어느 정도 조정단계 거쳤고, 환율도 크게 움직일 가능성이 높지 않다. 다만 실물경기 불확실성은 남아있다.
-잠재성장률 과거보다 하락했지만, 생산성, 자본축적도 등 고려할 때 3% 아래로 떨어졌다고 보진 않는다.
-가계부채 정확한 분석에 한계 있는 건 사실. 소득통계, 구체적 자산통계가 불비. 보완 노력 해왔고, 국회 차원의 노력도 있다.
-(기업 구조조정 본격화 따른 경기위축 땐 완화정책 펴야하지 않느냐는 질문에)그런 논리에 동의는 하나, 완화적 통화정책이 장기화하면서 한계기업이 증가한 상황도 균형있게 고려해야 한다.
-내년 물가안정목표 정부와 협의 중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