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차 직장인인 김모(28)씨는 올해 초 담뱃값 인상에 따른 부담과 여자친구의 권유로 금연을 결심했지만 한 달 만에 포기했다. 처음 몇 주 동안은 금단현상에도 버티는가 싶었지만, 업무 스트레스가 심해지자 결국 편의점으로 달려가 담배를 구입했다. 최근까지 금연과 흡연을 1개월 주기로 반복하고 있다는 김씨는 “보건소에 금연클리닉이 있는 것을 알고 있지만 방문할 시간적 여유가 없고, 다녀온 사람들도 실패하는 거 같아 차라리 스스로 끊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담뱃값 인상과 금연구역 확대 등 정부의 금연 정책에 힘입어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찾은 흡연자들이 올해 초에는 전년도보다 4배 이상 늘었지만, 6개월여 만에 그 수가 5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보건복지부의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 실적’에 따르면 올해 1월 16만1,800여명에 달했던 금연클리닉 등록자들은 그 다음달 5만8,800명으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고 이후 계속 감소했다. 8월에는 3만여명 수준으로 집계됐다. 금연 열기가 후끈 달아올랐던 연초와 비교하면 ‘용두사미’수준이다. 다만 8월까지 전체 클리닉 등록자는 46만4,000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4만여명에 비교했을 때 2배 가까이 늘어났다.
2005년 시작된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금연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전국에 있는 보건소를 방문해 생활 습관 및 니코틴 의존도를 상담하고 금연 계획을 세우도록 하는 제도다. 등록자에 대해서는 6개월 동안 9차례 상담사가 전화나 면담을 통해 흡연욕구를 억제시키고 금단증상을 관리한다. 처음 세 달 동안은 무료로 금연패치 등 금연보조제도 지급한다.
올해 1월의 금연클리닉 등록 수준은 지난해 1월(3만7,500여명)과 비교했을 때 5배에 가까운 수치다. 올해 초 담뱃값이 2,500원에서 4,500원으로 50% 이상 인상된 데다 면적에 관계 없이 모든 음식점이 금연구역으로 지정되는 등 강화된 규제가 결합된 효과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홍관 한국금연운동협의회장은 “금연클리닉 등록은 최초 금연에 도움이 되겠지만 기간이 정해져 있어 끊임 없는 흡연 욕구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다”며 “미국이나 일본처럼 금연보조제에 대한 보험급여 지급을 보편화하고, 값싼 면세 담배 공급을 줄여나가는 등 근본적으로 사회가 금연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재진기자 blanc@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