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 후원 심포지엄서 열띤 토론, "위안부 문제 연내 최소한의 합의를"
"DJ-오부치 파트너십 선언 17주년, 한일 소통의 리더십 아쉬워"
"성과에 집착 않는 정상회담 등 양국 지도자의 결단 필요"
"양국 시민사회, 단순 교류 넘어 서로의 역사·문화 학습하려는 노력을"
한반도평화포럼과 (사)한일미래포럼,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이 주최하고 한국일보가 후원한 ‘한일수교 50주년 심포지엄: 21세기 동북아정세 변화와 한일관계의 재구축’이 8일 서울 동교동 김대중도서관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한일 전문가들은 양국 지도자들의 결단, 시민사회의 협력을 통한 한일관계 개선 필요성을 제기했다. 1998년 10월8일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일본 총리가 모범적 한일관계의 전범으로 꼽히는 ‘21세기 새로운 한일파트너십 공동선언’을 발표한 지 꼭 17년 만이다.
“日, 주변국 우호 관계 통한 평화 유지 힘써야”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는 축사를 통해 “일본은 미일동맹에 기반해 동북아시아의 질서를 이끌어가기보다 주변국과의 우호적 관계를 통해 평화 유지에 힘써야 한다”며 “김 전 대통령과 오부치 수상이 보여주던 소통의 리더십이 아베 신조 총리에게도 필요하다”라고 촉구했다. 기조강연을 맡은 최상용 전 주일대사(고려대 명예교수)도 “동아시아 평화의 핵심은 한중일 협력인데 일본과 중국의 서로에 대한 경계가 대단해 안타깝다”며 “한일관계의 경우 역사의 흐름은 시간이 지나면 상대화할 수밖에 없는 만큼 약간의 차이는 관용으로 두는 역사관으로 한일 간 쟁점인 독도 교과서 야스쿠니 문제를 접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첫 세션에선 일본의 안전보장관련법안 통과에 따른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 필요성이 논의됐다. 발제를 맡은 서승원 고려대 글로벌일본연구원 원장은 “아베 정권의 새로운 외교안보정책은 미일 대 중국 구도를 이용해 70여년 만에 대국 간 정치(great power politics)에 다시 참여하겠다는 의지 표명으로,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지형을 뒤흔들 중대 사건”이라며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4자회담 등 ‘다자 간 주의’를 재건하고 타자를 악마화하는 유혹에서 벗어나 적대적 동맹관계를 끊어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무라 칸 고베대 대학원 교수는 “일본에는 실제로 중국과 한국에 대한 위협감과 불안이 존재한다”며 “일본이 자꾸 동북아에서 배제되면 ‘힘을 가져야 한다, 고슴도치처럼 우리가 지키자, 미국을 끌어들이자’는 생각이 커질 테니 ‘새로운 상황이 돼도 일본은 괜찮다’는 메시지를 줄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韓日, 역사 문화 상대 입장에서 바라보자”
한일관계 해법도 제시됐다. 양기호 성공회대 일본학과 교수는 “내년에는 4월 총선, 하반기부터는 대권 경쟁이 시작돼 차기로 넘어가는 만큼 위안부 문제가 한일 간 외교적 트라우마로 남지 않도록 연말까지 최소한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라며 “일본의 사죄 보상, 한국의 위로 기념 기억 지원 등 상호 국민들이 수용 가능한 해법을 만들고 원칙을 지켜가면 위안부 문제도 풀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황영식 한국일보 논설실장은 “98년 당시와 마찬가지로 지금도 양국관계의 회복, 아니 최소한 더 이상의 악화 방지를 위해서는 정상회담의 성과에 집착하지 않는 정상회담 개최 같은 양국 지도자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코노기 마사오 일본 게이오대 명예교수는 한일 시민사회의 노력을 주문했다. 오코노기 교수는 “한일관계가 98년으로 돌아갈 수는 없고 그때와는 상황이 다른 만큼 한일 간 공통분모를 모색하고 재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그동안 한일관계는 교류는 했지만 서로 학습하는 관계는 부족했던 만큼 역사나 문화를 상대방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임동원ㆍ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유명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 김태지 전 주일대사, 미키 아쓰유키 서울재팬클럽 이사장 등도 참석했다.
정상원기자 ornot@hankookilbo.com
강윤주기자 kka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