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의 세포 안에서 손상된 유전자(DNA)를 스스로 복구하는 원리를 규명한 미국과 스웨덴의 과학자들이 올해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DNA 복구 메커니즘을 공동 연구한 토마스 린달(77·스웨덴) 프랜시스크릭연구소 명예교수, 폴 모드리치(69·미국) 미국 듀크대 의과대학 교수 겸 하워드휴스연구소 연구원, 터키·미국 이중국적자 아지즈 산자르(69)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 등 3명을 올해의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우리 몸의 유전자 물질이 변형·해체되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건 분자 시스템 차원에서 DNA를 지속적으로 추적·관찰하고 복구하기 때문인데 이들 수상자는 이러한 메커니즘을 밝혔다. 왕립과학원은 “세포가 손상된 DNA를 어떻게 복구하고 유전자 정보를 보호하는지를 분자 수준에서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린달은 DNA가 일정하게 붕괴되고 지속적인 대응 반응으로 회복된다는 ‘염기 절제 복구’(base excision repair) 원리를 밝혀내 1970년대까지만 해도 DNA가 극도로 안정적인 분자라고 여겨지던 과학계의 통념을 깨뜨렸다. 왕립과학원은 “지구에 생명체가 생겨나게 된 것도 바로 이러한 DNA의 속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산자르는 ‘뉴클리오타이드 절제 복구’(nucleotide excision repair) 연구를 통해 세포가 자외선에 의해 입은 손상을 복구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태어나면서부터 이러한 복구 시스템에 결함이 있는 사람이 햇빛에 노출되면 피부암에 걸리며, 세포가 돌연변이 유발 물질로 생긴 결함을 뉴클리오타이드 절제복구를 통해 없앤다는 사실도 그의 연구로 밝혀졌다.
모드리치는 세포 분열 과정에서 DNA가 복제될 때 일어나는 손상을 세포가 극복해내는 과정을 입증한 ‘부정합 복구’(mismatch repair)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선천적 결함이 대장암의 원인이 된다는 점도 그의 연구를 통해 알려졌다.
왕립과학원은 “이들 수상자는 살아있는 세포 기능에 대한 근본적 지식을 제공했으며 특히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의 길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수상자들은 상금 800만 크로나(한화 약 11억2,000만원)를 나눠가지게 된다. 시상식은 창시자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12월10일 스웨덴 스톡홀름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다.
박민식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