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에 대한 가장 큰 오해 중 하나는 산악 지형이어서 추울 거라는 인식이다. 히말라야 트레킹에 대한 이미지가 굳어진 탓이다. 실제 네팔은 북위 26~30도에 위치하는 아열대 지역이다. 고봉 설산을 제외한 해발 4000m까지 농사를 짓고, 남부 평야지대는 3모작까지 가능하다.
해발고도 60m 평지인 치트완 국립공원은 수도 카트만두에서 남쪽으로 약 150km 떨어져 있다. ‘고속도로’ 수준이 한국의 지방도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차로 이동하려면 4시간이상 걸리지만 비행기로는 30분이면 인근 바랏푸르 공항에 닿는다.
치트완의 첫 인상은 열대 특유의 희뿌연 열기다. 맑은 날도 항상 연무가 껴있다. 새 건물도 간판도 진열된 상품도 차곡차곡 쌓인 먼지를 겨우 털어낸 것처럼 모든 것이 색이 바랜 듯 하다. 그럼에도 볕은 따갑고 나른하다. ‘태어나서 이렇게 열심히 일해 본 적이 없는데 사장님이 게으르다고 야단칠 때가 가장 억울하다’고 토로한 어느 동남아 출신 이주노동자가 떠올랐다. 섣불리 부지런 떨다가는 큰일 치르기 딱 알맞은 기후다. 여행하기엔 우기가 끝나는 10월에서 이듬해 2월까지가 적기다. 한국인들에겐 생소하지만 유럽여행객들은 길게는 1개월 가까이 머물며 아열대의 게으름을 즐긴다.
치트완 국립공원의 주된 즐길 거리는 정글투어다. 동물들도 한 낮에는 움직임이 없기 때문에 사파리도 이른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 시작한다. 방법은 크게 3가지. 가이드와 숲의 경계지역을 둘러보는 정글 트레킹, 통나무를 파낸 배를 타고 랍티강을 따라 내려가며 악어와 새들을 관찰하는 카누 사파리, 그리고 비교적 정글 깊숙한 곳까지 둘러보는 코끼리 사파리로 나뉜다.
“코뿔소를 만나면 지그재그로 도망가야 하고, 곰과 호랑이를 만날 수도 있으니 뭉쳐서 다녀야 합니다. 호랑이는 만나지 않는 게 더 행운일 수도 있겠네요.” 정글 가이드의 주의 사항이 결코 농담이 아니다. 이곳은 벵골호랑이와 외뿔코뿔소 세계 최대 서식지다. ‘치트완’도 네팔어로 호랑이를 뜻하는 ‘치트와’에서 나온 말이다. 현재 400여 마리의 벵골호랑이와 500여 마리의 외뿔코뿔소가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인도를 장악한 영국 지배세력과 결탁한 네팔왕족들이 이 정글에서 하루 최대 200마리의 호랑이를 사냥해 한때 멸종 위기까지 몰렸지만 다행히 지금은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다.
가장 안전하고 실속 있는 사파리는 역시 코끼리를 타는 방법이다. 숲 속 동물을 보는 것 못지않게 코끼리를 타는 것 자체가 스릴 넘친다. 약 2시간 동안 강을 두 번이나 건너고, 발목까지 빠지는 늪지대를 수 차례 지나는 정글 여행은 코끼리가 아니면 불가능하다. 몰이꾼 1명을 포함해 5명을 등에 얹고 정글을 누비는 코끼리의 위력에 다시 한 번 감탄하게 된다. 그 수고로움으로 호랑이를 제외한 많은 종류의 동물을 볼 수 있었다. 하루 2차례로 제한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동물학대가 아닌가 하는 죄책감은 여전히 부담이다.
짙은 그늘 아래서 아열대의 무더위를 피할 수 있다는 점도 정글 사파리의 부수적 매력이다. 숲의 70%는 아름드리 살(Saal) 나무로 덮여 있다. 빨리 자라면서도 재질이 단단해 쓸모가 많은 나무다. 물속에서, 땅 위에서, 그리고 목재로 1,000년을 버티기 때문에 3,000년을 사는 나무라고 부를 정도다. 오래된 사원의 기둥과 정교한 나무조각도 대부분 살 나무다. 주민들은 요즘도 딸이 태어나면 결혼 자금을 위해 이 나무를 심는다. 결혼지참금은 불법이지만 남부지역은 여전히 일반화돼 있다.
마음의 평온을 찾는 것이 여행의 최고 목적라면 치트완 국립공원 인근의 타루족 마을을 둘러볼 것을 권하고 싶다. 꼭 봐야 할 것도, 특별히 내세울 것도 없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물소에게 한가하게 풀을 뜯기는 모습, 저녁식사를 준비하는 가정집 마당에서 닭들이 부지런히 흙을 파헤치며 먹이를 잡는 모습, 온 가족이 처마 밑에 앉아 두런두런 얘기를 나누는 풍경, 골목마다 넘쳐나는 아이들의 재잘거림 등 모든 것들이 압축 성장으로 잃어버린 수 십 년 전 우리의 농촌마을과 닮았다.
아이들의 주된 놀이는 잔 풀이 무성한 동네 어귀 공터에서 크리켓을 즐기는 것이다. 덩치로 봐서 나이와 상관없이 어울리는 모양이다. 승부를 두고 다투다가도 풀밭을 뛰며 환호하는 몸짓이 행복하다. 아이들의 티없이 맑은 웃음소리는 어둑해질 무렵까지 이어진다. 빨리 저녁 먹으러 오라는 엄마의 고함소리가 곧 들릴 듯 하다. 더 가지고 더 누리기 위해 정작 우리가 놓치고 있는 가치들이 발갛게 떨어지는 태양처럼 점점 또렷해졌다.
▦대지진 이후 네팔여행 괜찮을까?
4월 25일 대지진 이후 외교부는 네팔 전역을 황색(여행자제) 지역으로 지정했다. 5월 13일에는 추가 지진 발생을 우려해 안나푸르나, 랑탕, 에베레스트 등 3개 트레킹 지역에 한해 여행경보를 적색(철수권고)으로 상향한 상태다.
네팔을 여행하는 한국인의 80% 이상이 이들 3개 트레킹 지역에 집중돼 있다. 그 중에서도 안나푸르나 지역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네팔 정부는 각국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국제지질학자들을 초빙해 안전진단을 실시한 결과 추가 지진 염려는 없다는 입장이다. 네팔 문화관광장관은 "지진으로 전체 관광지의 15%가량이 피해를 입었지만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안나푸르나 트레킹 코스는 피해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진앙지(카트만두와 에베레스트 사이)와 가까운 랑탕 지역은 피해가 극심해 단 시일 내 복구는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수도 카트만두 시내에서는 왕궁을 비롯한 오래된 건축물을 중심으로 지진 피해 흔적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카트만두와 박타푸르 왕궁 유적은 잔해만 정리한 상태로 관광객을 맞고 있다. 반면 안나푸르나 트레킹 시발점인 포카라에서는 지진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없었다.
주 네팔 한국대사관 측은 “정부로서는 재외국민의 안전문제에 관한 한 최대한 보수적으로 판단할 수 밖에 없다”며 현재 여행경보를 하향 조정할지에 대해 정보를 수집 중이다. 대한산악연맹은 에베레스트와 안나푸르나 지역은 트레킹에 전혀 문제가 없고, 랑탕 지역도 불편하지만 안전에 대한 우려는 없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황색(여행자제) 지역으로 분류된 네팔 전체에 대해서도 경보수준을 한 단계 낮춰야 한다는 의견을 외교부에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치트완·카트만두=최흥수기자 choisso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