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교육의 틀이 크게 변화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안전교육과 소프트웨어(SW) 교육의 신설, 통합사회ㆍ통합과학의 도입, 고교 선택과목의 활성화 등 내용도 다양하다. 학교현장의 수업도 대폭 바뀐다. 이처럼 교육현장의 큰 변화가 예상되지만, 입시제도가 변하지 않고 교사들의 준비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넘어야 할 숙제도 많다.
우선 이번 교육과정 개정이 문ㆍ이과 통합을 골자로 하는 만큼 그 취지를 구현할 수 있는 교원 양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현재 중학교 1학년생에게 적용되는 통합사회나 통합과학은 사회과와 과학과를 구성하는 다양한 하위 영역 학문이 서로 연계하고 통합돼 큰 그림을 그려야 하는 과목이다.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교사들 역시 이를 유도하고 가르칠 자질이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현재의 교사 대부분은 수십년째 이어온 교과목 중심의 교원 양성 제도를 거친 교사들이 주류다. 교원대나 사범대는 여전히 과목 중심의 ‘미래 교사 양성 시스템’이 유지되고 있다. 사회과와 과학과가 통합과목으로 운영되는 중학교 교사에 대해서 교육당국은 한때 공통사회나 공통과학 교사 자격증을 별도로 발급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관련 정책이 흐지부지됐다. 현재까지 교육현장은 새로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힘든 교원양성 및 수급구조인 것이다. 교육부는 올해부터 다양하고 실효적인 교사 연수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한다는 방침이나, 연수만으로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를 양성할 교원을 기대하기는 무리다.
무엇보다 수능체제 등 대학 입시제도 틀의 변화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교육과정 개정이 핵심을 건드리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나뉘는 고교 교육과정 개정을 수능에 반영할지 여부를 담보하고 있지 않아, 현재와 같은 수능 과목 중심의 파행수업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다. 앞서 교육부의 정책연구인 ‘학교현장, 국가ㆍ사회의 요구사항 조사 연구’에 참여한 교육 전문가들은 교육과정 개정에 맞춰 영어 과목 외 다른 과목에도 절대평가를 확대해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지만 사회적 합의 부족, 대학들의 반발 예상 등으로 논의가 본격화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지적들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과정 고시 이후 중장기적으로 교원양성 교육과 임용 및 배치 등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를 통한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수능절대평가제 도입 확대를 포함한 대학입시제도에 대해서도 사회적 논의를 진행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대혁기자 selected@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