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고래호 표류예측 최대 69.5㎞ 오류
실종자 발견 지점과 예측 위치 달라
컴퓨터 용량 한계로 정확도 떨어져
제주 추자도 해상에서 전복된 돌고래호(9.77톤ㆍ전남 해남 선적) 실종자 발견위치와 표류예측시스템상의 예측 위치와의 거리가 최대 69.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인 김우남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해양수산부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서면 답변서에 따르면 지난 6∼9일 인양한 돌고래호 실종자의 실제 발견 위치와 표류예측시스템상 예측 위치가 9.5∼69.5㎞ 차이가 났다.
표류예측시스템은 정부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220억원을 투입하는 해양예보시스템 중 하나의 기능으로 조류의 방향과 유속 등을 근거로 표류된 선박과 실종자 등의 위치를 예측하는 시스템이다. 2011년부터 해양과학기술원(KIOST)을 통해 개발되고 있으며 2013년부터 국립해양조사원이 이를 실용화해 해경에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표류예측시스템은 이번 돌고래호 전복 사고 실종자의 위치 예측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했다.
지난 14일 인양한 12번째 실종자 발견 지점은 하추자도 남동쪽 해상이지만, 표류예측시스템이 같은 시각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예측한 지점은 제주도 우도 북동쪽으로 발견 지점과는 69.5㎞나 떨어져 있었다.
지난 10일 11번째로 인양한 실종자도 추자대교 밑 해상에서 발견됐지만 표류예측시스템이 예측한 지점은 이로부터 남동쪽으로 48.2㎞나 벗어난 해상이다.
해수부측은 “표류예측시스템은 가로ㆍ세로 3㎞ 간격의 네모칸 안에 있는 조류 등의 정보를 평균적으로 표현한다”며 “그러나 이번 돌고래호 사고 해역처럼 섬과 복잡한 해안선이 있으면 정확도에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확도가 낮은 이유는 컴퓨터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용량 증설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김우남 의원은 “세월호 사고 때도 기능이 도마 위에 올랐던 표류예측시스템이 다시 무용지물이 됐다”며 “표류예측시스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집중적인 예산투자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주=김영헌기자 tamla@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