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기준금리를 일단 동결했다. 연방준비제도(FRBㆍ연준)는 18일까지 이틀 간 열린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방기금금리(FFR) 목표 수준을 현행 0~0.25%로 유지하기로 했다. 연준이 경기와 고용 회복에 따른 금리 인상 기대에도 불구하고 ‘행동’을 유보한 공식적 이유는 두 가지다. 유가 하락 등의 여파로 물가 상승 압력이 아직 강하지 않은 데다, 중국 발 글로벌 금융ㆍ경제 불안 상황을 감안해야 했다. 하지만 ‘작동 버튼’만 누르지 않았을 뿐, 미국 금리 인상 기조는 이미 굳어졌다는 점에서 대비가 절실하다.
전 세계가 미국 금리 인상에 전전긍긍하는 이유는 ‘긴축 발작’ 때문이다. 그 동안 미국 등의 장기 금융완화책에 따라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2008~2013년 신흥국으로 유입된 글로벌 채권ㆍ주식자금은 그 이전 6년 간의 두 배에 육박하는 1조2,000억 달러에 달했다. 미국 금리가 올라가고 달러가 강세를 타면 이들 자금이 신흥국을 이탈해 미국 등 ‘중심부’로 대거 역류하면서 신흥국 경제가 큰 타격을 입고, 그게 다시 글로벌 경제를 뒤흔드는 상황이 긴축발작이다. 지난 2개월 간 454억 달러에 달하는 글로벌 자금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신흥국 증시에서 이탈하는 등 자금 역류는 이미 시작됐다.
여기에 올 들어 중국 성장 둔화 및 국제 원자재값 하락으로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일부 신흥국으로서는 긴축발작에 경기침체까지 겹치는 이중고를 겪고 있어 문제가 더 심각하다. 다른 나라 사정을 별로 배려하지 않았던 FRB가 성명에서 “최근의 세계 경제 상황이 경제 활동을 제한시키고 있다”며 이례적으로 우려를 내비친 것도 자칫 미국 경제 역시 긴축발작의 여파에 휩쓸릴 수 있다는 경계심에 다름 아니다. 하지만 FRB가 부정적 충격을 감안해 완만한 금리 인상을 한다고 해도 긴축발작의 가능성은 여전하다.
우리 경제가 미국 금리 인상으로 입을 충격은 1995년이나 2008년 당시보다는 적을 것으로 분석된다. 어쨌든 경상수지 흑자기조가 탄탄하고 외환보유액도 사상 최대치라 최소한 금융 긴축발작에 심각하게 휩쓸릴 가능성은 별로 없다. 최근 부진하지만, 수출 역시 상대적으로는 견고해 최근 국가신용등급이 오히려 올라갔을 정도다.
그렇다고 결코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최근 급증한 가계부채와 부동산 거품 등은 향후 미국 금리 인상으로 글로벌 경제가 격동할 경우 우리 경제의 ‘취약 고리’가 될 게 분명하다. 정부는 일단 금융시장 동향을 철저히 모니터링 하는 등 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가계부채와 부동산 거품 등 내재적 위험을 완화할 구조적 시책도 강화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