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서 쏟아져 들어오는 난민의 사태로 유럽 각국이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지만, 유럽 주요국의 인구에서 난민 등 이민자가 점하는 비율이 다른 주요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적은 편이어서 눈길을 끈다.
16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미국의 일간 뉴욕타임스의 통계를 보면 2013년 말 기준 자국 영토에서 태어나지 않은 인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스웨덴의 경우 이 비율이 10.6%에 불과했다. 이어 스페인 8.5%, 프랑스 8.3%, 영국 8.1%, 독일 7.4%, 이탈리아 6.5% 의 분포를 보였다.
이보다 한 해 앞선 2012년을 기준으로 유럽이 아닌 오스트레일리아의 자국 영토에서 태어나지 않은 사람의 인구 점유율은 27.3%나 됐다. 인접국인 뉴질랜드도 24.1%에 달했다.
북미의 대표적인 국가인 캐나다는 이 비율이 19.8%나 됐다. 이민자의 나라로 불리는 미국은 예상 밖으로 13.0%에 머물렀지만, 유럽 국가들에 비해선 크게 높았다.
이와 관련, 뉴욕타임스는 대체로 선진국에 난민 등 이민자가 늘어나면 노동시장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고 소개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등의 연구를 보면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가운데 1990∼2000년 사이에 이민자를 적극 수용한 나라는 이민자로 인해 자국민 노동자들의 임금에까지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민자들이 저임금 분야를 담당함에 따라 자국 노동자들이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은 분야로 옮겨가 소득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들어 저출산·고령화로 선진국의 노동시장 사정이 나빠지는 상황에서 이민자의 유입은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여주는 효과도 있다. 2000∼2010년 사이 유럽 각국의 노동시장이 적잖은 규모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이민자들이 담당한 비중이 3분의 2에 달한다는 분석도 있다.
이에 따라 이 신문은 유럽 각국이 맞은 난민 사태가 당장에는 해당국에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지만, 중·장기로는 긍정적 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지난 6일 독일 재계를 대표하는 독일산업총연맹(BDI)의 울리치 그릴로 회장은 “난민을 (독일) 노동시장으로 빠르게 흡수할 수 있다면, 상생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일부에서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다른 유럽 나라보다 난민 사태 해결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도 이런 점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박소영기자 sosyoung@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