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5일 핵실험 의향을 흘리자, 미국과 중국도 신속하게 반응했다. 미국은 단호한 경고의 메시지였다면, 중국은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표정이 역력했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15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은 무책임한 도발을 중단하고 대신 국제사회의 의무와 약속을 준수해야 한다”며 “미국의 입장, 특히 역내 주요국을 포함한 세계의 동맹국과 공유하는 우리의 분명한 입장은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무부 대니얼 러셀 동아태 차관보는 “북한이 국제적 제재로 이어지는 위협ㆍ도발 행위를 한다면 이것은 북한에 실수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북한은 과거에도 도발행위를 한 적이 있으나 아무런 혜택이나 이득을 보지 못했다”며 “북한이 원하는 것은 경제성장과 안보, 그리고 (국제사회로부터) 존경을 받는 것이지만, 그것은 북한이 올바른 결정을 내리고 올바른 길을 선택할 때에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국방부 피터 쿡 대변인 역시 “한반도 상황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으며, 역내 평화와 안정, 안전을 해치는 언행을 자제할 것을 북한에 촉구한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의 반응은 애매했다. 홍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5일 “북한은 주권국으로서 우주 공간을 평화적으로 이용할 권리가 있다”며 “그러나 북한의 이러한 권리는 현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로 제한돼 있으며 이러한 안보리 결의는 철저하게 이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북한의 영변 핵 시설 재가동을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엔 즉답을 피한 채 “중국은 유관 측이 한반도의 평화와 지역의 안정에 도움이 되는 일을 많이 하길 바란다”고 답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는 16일 사설에서 “한미일이 북한의 불안감을 이해하려 하지 않고 북한도 태도를 바꾸려고 하지 않으면서 사실 가장 어려운 건 중국”이라고 주장했다. 이 매체는 “북중 새 지도자가 아직 만나지 않은 것은 비정상이지만 양국은 여전히 소통하고 있고 우호 관계 또한 공고하다”며 “핵 문제에 대해서는 서로 의견이 다르지만 양국 모두 우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신문은 이어 “북한이 다음달 위성을 발사해 안보리 제재를 받으면 북한은 다시 이 제재에 보복하겠다며 4차 핵실험을 감행할 것”이라며 “이는 북핵 문제가 악순환에 빠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조철환특파원 chcho@hankookilbo.com
베이징=박일근특파원 ikpar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