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전국 6곳 7024가구 쏟아져
임대료 주변시세와 비슷하지만 월세 상승률 연 5%로 제한
주변 단지보다 실속 있을 수도
#. 대림산업은 지난달 14일부터 사흘간 인천 남구 도화지구에서 ‘e편한세상 도화’를 위한 사전 홍보관을 열었다. 견본주택을 정식으로 열기 전 맛보기로 단지를 알리고, 사람들의 반응도 살피기 위해 요즘 건설사들이 벌이는 사전 마케팅의 일종이다. 관심은 폭발적이었다. 3일간 방문객이 3,800명에 달했다. 분양 붐인 요즘 행사장에 사람 몰리는 게 놀라울 일은 아니지만, 이 단지는 ‘내 집 마련’을 위한 게 아니라 임대 아파트라는 점에서 관심을 받는다는 것 자체가 이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이 아파트는 기존 임대 상품과 비교했을 때 겨냥하는 대상도, 임대료 수준도 본질적으로 다르다. 중산층을 겨냥한 ‘제1호 월세 주택’이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월세시대를 맞아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 시대가 열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올 하반기 6곳에서 중산층을 위한 월세 주택 7,024가구가 쏟아진다. 가장 먼저 단지를 선보이는 대림산업의 상품을 보면 뉴스테이의 임대료와 특성 등을 알 수 있다.
인천에 총 2,653가구 규모의 ‘e편한세상 도화’를 짓는 대림산업은 이달 28일 견본주택 개관, 다음달 2~3일 입주자 모집을 한다. 단지는 뉴스테이(2,105가구)와 공공임대주택(548가구)으로 나뉘는데 뉴스테이의 경우 중소형(전용 59~84㎡) 크기로만 구성됐고 임대료는 보증금 5,000만원에 월세 43만원(전용 59㎡)부터 보증금 6,500만원에 월세 55만원(전용 84㎡)으로 책정했다.
지금까지 임대주택이라고 하면 저소득층과 서민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임대료가 최저수준이었던 것에 반해 뉴스테이는 주변 시세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부가 의무임대기간(8년)과 임대료 상승률(연5%)만 제한했을 뿐 최초 임대료 수준, 분양 전환 의무 등 다른 규제는 두지 않고 건설사에 전권을 맡겼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한화건설은 다음달 경기 수원 권선동에서 2,400가구 규모를 공급하고 서울에서는 반도건설이 신당동에, KCC건설이 대림동에 각각 월세주택을 내놓을 예정인데 역시 임대료를 주변 시세에 맞추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심한 전세난 탓에 임대료가 비싼 서울에서는 주택 크기에 따라 월세가 100만원을 넘기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임대료만 놓고 보면 단점이 커 보이지만 대상에 따라선 장점이 많은 주택 유형이다.
무엇보다 주거 안정에 도움을 준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8년간 입주 보장이 되고 월세 상승폭도 높지 않다. 대림산업의 경우 임대료 상승률을 정부가 정해준 상한선(연5%)보다 더 낮춰 연 3%로 잡았다. 다른 건설사들도 입주자들의 초기 호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이런 ‘당근책’을 내놓을 공산이 크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초기 임대료 수준은 비싸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월세 상승률 제한폭이 매년 5%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나중에는 다른 주변 단지와 비교했을 때 월세 차이가 점점 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처음 입주할 때의 임대료만 따지지 말고 8년간 산다는 가정 하에 뉴스테이와 다른 일반 주택의 월세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인프라가 일반 분양 주택 수준이라는 점도 기존 임대주택과 차별화되는 점이다. 대우건설의 ‘푸르지오 메종’은 요즘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4베이 방식’(방3개와 거실을 남향 위주로 전면 배치)을 적용했고 대림산업은 입주 후에도 관리와 운영을 끝까지 맡아 어린이집 등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업장마다 특색이 있다.
신청도 까다롭지 않다. 소득여건이나 주택 소유 유무와 상관없이 입주를 희망하는 사람은 누구나 청약통장 없이 신청이 가능하다. 또 임대관리 사업자가 기업이기 때문에 집주인 눈치를 보지 않고 월세 소득공제 신청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매달 상당액이 월세로 나가는 까닭에 선호 대상은 한정적일 것으로 보인다. 김지연 리얼투데이 팀장은 “월세와 관리비까지 합치면 다달이 지불해야 하는 돈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자녀 교육비 등 추가로 나갈 돈이 많지 않은 맞벌이 젊은 부부나 미취학 자녀를 둔 부부, 소득이 많은 1인 가구 등이 관심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아름기자 sara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