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16일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밝힌 광복 70주년 기자회견에서 전날 박근혜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와 대구를 이루는 듯한 표현들을 써가며 차이점을 부각했다.
박 대통령이 전날 경축사에서 평화통일 비전을 얘기하면서 '한반도의 기적'을 이야기하면서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치적인 '한강의 기적'을 언급한 것을 염두에 둔 듯 문 대표는 '남북 경제통일' 비전을 거론하면서 "'한강의 기적'을 '대동강의 기적'으로 확장시킬 것이다. 그것이 '한반도의 기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박 대통령이 대한민국 경제발전의 비전을 제시하면서 "머지 않아 대한민국이 일곱번째 5030 클럽 국가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며 '5030 클럽(인구 5,000만 명 이상,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이상 국가) 표현을 사용했다.
이와 대비해 문 대표는 남북 경제통일 비전을 제시하면서 "남북이 통일이 안되더라도 먼저 경제공동체를 이룬다면 우리 기업의 북한 진출로 단숨에 8,000만 시장에 국민소득 3만 달러로 경제규모가 커지게 된다"며 "미국, 독일, 일본에 이어 세계 네번째로 '3080 클럽'에 들어가 국민소득 5만불 시대로 향해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표가 회견일을 광복절 하루 다음날로 잡은 것도 박 대통령의 경축사를 직접 검토해 이를 회견문에 반영하기 위한 측면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표는 회견 말미에는 최근 지뢰도발 사건을 계기로 남남갈등이 고조되는 것을 의식한 듯 '마음속의 38선이 무너져야 땅위의 38선도 철폐될 수 있을 것'이라는 백범 김구 선생의 말씀을 인용, 남남통합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날 회견장에는 '우리가 살 길은 경제통일입니다'라는 글과 함께 '한반도 신경제구상'을 표시한 한반도 지도가 걸렸다.
회견장에는 전병헌 최고위원, 최재천 정책위의장, 이윤석 조직본부장, 박광온 대표비서실장, 김성수 대변인 등이 배석했다.
문 대표는 회견문을 낭독한 뒤 기자들의 질문을 받았지만 회견의 취지를 십분 살리려는 듯 질문 내용을 남북관계로만 제한했다.
다음은 문 대표와의 일문일답.
--박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지, 야당 대표로서 특별히 광복절 기자회견을 한 이유는.
▲아주 미흡했다고 생각한다. 올해는 광복 70주년을 맞는 해이고 우리 경제와 남북관계가 대단히 어려운 만큼 특별한 메시지를 기대했는데 밋밋하기만 했다. 여러모로 아쉽다.
그래서 야당으로서도 광복 70주년을 넘어 앞으로 광복 100주년을 맞이할 비전을 우리 집권전략으로, 또 대안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경제활동 영역을 북한과 대륙으로 확장해야 한다는 대목이 박 대통령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같은 것인지.
▲대통령 말씀과 다르지 않다. 다만 대통령은 말씀뿐이고 실천을 위한 구체적 계획이 없다. 우리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청사진을 갖고 차근차근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자는 것이다.
--구체적 청사진은 어떤 것인지.
▲당장 5·24 조치를 해제하고 6자회담을 재개해야 한다.
--한반도 경제통일을 큰 전략으로 삼은 배경은.
▲원래 기자회견 전문에는 우리 경제의 어려운 상황과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 등 지속적으로 나빠질 전망까지 설명이 돼 있다.
그런 여러가지 경제의 어려움에서 벗어날 유일한 활로가 한반도 경제, 또 대륙경제이고, 우리 경제를 강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6자회담에 큰 움직임이 없는 상황에서 '2+2 회담'의 성격을 설명한다면.
▲지금은 6자회담 재개가 절실하다. 6자회담이야말로 북핵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다. 중국은 6자회담에 아주 적극적이고 북한도 응할 용의가 있다고 하는데, 소극적인 쪽은 미국과 우리 정부이다.
우리 정부와 미국이 더 적극적 자세로 전환해야 한다. 6자회담을 위한 과정으로서 남북대화 및 북미대화, 이 2+2 회담을 제안한 것이다.
--지뢰도발 이후 남북한 화해협력 주장이 국민정서에 맞지 않을 수 있는데.
▲과거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무장공비가 청와대에 들어왔지만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7·4 남북공동성명을 발표했고, 전두환 정부, 노태우 정부 때도 엄청난 도발이 이어졌지만 북한과 꾸준히 대화했다.
지금 북한의 지뢰도발 사건은 용납이 안 되고 단호히 대응해야 하지만, 서로 상충하면서 위기로 치닫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가운데서도 북한과 대화해야 하고, 그 자리에서 북한의 책임을 묻고 북한도 자기 소행이 아니라고 주장한다면 그 자리에서 설명하고 그렇게 남북관계를 발전시켜가야 한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