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8년 새로 체결될 한·미 방위비 분담 특별협정(SMA) 협상 과정에서 양국 사이에 첨예한 논쟁이 벌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시퀘스터(자동 예산삭감)에 따라 국방예산이 크게 줄어든 미국 내에서 “한국 정부가 주한미군 주둔과 재배치 비용을 더 부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두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미국 플레처스쿨의 ‘안보리뷰’ 선임 편집인 리언 와이트는 9일(현지시간) 외교전문지 ‘디플로맷’에 기고한 글에서 “미국이 2011년 통과된 예산통제법에 따라 심각한 예산감축 상황을 계속 겪는다면 한국을 상대로 더 많은 비용부담을 요구함으로써 방위비 분담 협상이 논쟁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와이트는 “현재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미국 내에서는 의원들을 중심으로 ‘왜 한국과 같은 부자나라가 동맹에 더 기여를 하지 않느냐’는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며 “그러나 한국에서는 진보진영의 정치인들이 ‘한국은 이미 공정한 지분(fair share)보다 더 많이 부담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일본과 같은 국가는 미군의 주둔비용으로 더 많은 돈을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주한미군은 한국 이외의 지역에는 정기적으로 배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주둔지의 미군보다 더 많은 기회비용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브루스 벡톨 미국 텍사스 주 앤젤로 주립대 교수도 최근 미국 육군 전쟁대학이 펴낸 ‘주요 동맹과 안보파트너의 국방능력 평가보고서’에서 “주한미군 주둔비용은 양국의 가장 중요한 이슈로 남아있다”며 “의회는 미국이 북한의 침략을 막기 위해 제공하는 안보의 수준을 감안해볼 때 한국이 더 많이 기여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한편,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향후 5년간 적용되는 제9차 한미 방위비분담 특별협정(SMA) 비준동의안은 지난해 4월 국회를 통과했다. 미국은 당초 1조 원 이상을 한국 측이 부담할 것을 요구했으나 협상과정에서 9천200억 원으로 조정됐다. 연도별 인상률은 전전(前前)년도 소비자 물가지수(CPI)를 적용하되 최대 4%를 넘지 않도록 했다.
강주형기자 cubi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