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고강도 쇄신안을 내놓았다. 47개 계열사를 2년 안에 절반으로 줄이고 181개인 해외법인도 대폭 축소한다는 것 등이 주요 내용이다. 금품수수, 횡령 등으로 한 번이라도 문제가 되면 곧바로 퇴출 시키는‘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도도 도입했다. 지난 5월 비상경영쇄신위원회를 구성한 이후 장고(長考)를 거쳐 나온 쇄신안이라 나름 강력한 의지가 비친다. 우리가 일개 기업의 쇄신에 주목하는 것은 포스코가 단순한 일반기업이 아니라 어려웠던 시절, 한국의 경제발전을 일구고 추동하며 함께 성장해온 남다른 시대적 상징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포스코는 정서상의 ‘국민기업’에 가깝다.
쇄신안은 어찌 보면 당연한 기업 경쟁력 강화 방안들이다. 이런 것들이 야심 찬 쇄신으로 발표되는 것 자체가 역설적으로 그 동안 포스코 경영이 정상궤도를 벗어나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포스코는 오래 전부터 내우외환 상황이다. 검찰수사 장기화로 기업 이미지는 추락할 대로 추락했다. 중국 철강업체들은 코밑까지 추격해왔고, 세계적으로 철강은 공급과잉이다. 이미 국내에도 저렴한 중국산 철강이 범람하고 있다.
포스코의 쇄신안은 글로벌 철강 경쟁력을 강화하고 낭비와 부실, 비효율을 말끔히 제거해 이런 상황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국민 앞에서 경영쇄신안을 직접 밝힌 것도 그만큼 절박한 위기감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내용상 크게 특별할 것 없는 쇄신안이 반가운 이유다.
사실 포스코 위기의 본질은 딴 데 있지 않다. 15년 전 민영화 이후에도 포스코는 여전히 정권의 전리품 정도로 취급돼왔다. 지난 정준양 전 회장의 임명 과정도 그랬거니와, 결과가 신통치 않은 검찰수사가 마냥 이어지고 있는 것도 정치권의 이해와 떼어놓고 생각하기 힘들다. 문제 된 방만경영 또한 정치적으로 자유롭지 못했던 포스코의 입지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국민 앞에 공개한 이번 쇄신안이 포스코의 이런 모든 적폐들을 깨끗이 털어내고 진정한 국민기업의 위상을 되찾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